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사설] 포털 키워드 추천 서비스 시작, 실검 부활 꼼수 아닌가

양대 포털 네이버와 카카오가 키워드 추천 서비스에 나서 논란을 빚고 있다. 카카오는 지난 10일부터 포털 다음에 평소 대비 검색량이 급증한 키워드 5개를 보여주는 ‘투데이 버블’을 선보이고 있다. 네이버는 올 하반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첫 화면에 비슷한 성격의 ‘트렌드 토픽’을 신설한다. 이 서비스는 인공지능(AI)이 단기간에 블로그, 뉴스 등에 많이 언급된 단어를 추천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2∼3년 전 숱한 부작용 탓에 폐지된 실시간 검색어(실검) 서비스가 외양만 바꿔 부활한 게 아닌지 걱정이다.

포털의 의도는 빤하다.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최대한 많은 이용자의 눈과 귀를 붙잡아 정치·사회적 영향력을 키우고 싶을 것이다. 국내 검색시장의 독점 체제가 잠식당한 것도 무관치 않다. 네이버와 다음의 점유율은 2017년 80%, 10%에서 작년 말 63%, 5%로 뚝 떨어졌다. 그 사이 구글이 9%에서 31%로 급성장했다. 점유율 하락은 포털의 주 수입원인 광고매출 하락으로 이어진다.

포털 측은 과거 실검과는 다르다고 항변한다. 정치·사회가 아닌 생활·문화, 스포츠 등 연성 주제만 다루고 키워드 순위도 매기지 않아 조작 가능성이 작다는 설명이다. 영 미덥지 않다. 키워드 추출 알고리즘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는 한 정치 편향, 여론 조작이나 편법 광고의 수단으로 변질할 소지가 다분하다. 2019년 조국 법무부 장관의 임명과 거취를 놓고 실검 대결이 벌어져 나라를 두 동강 냈고 2018년 대선 때는 드루킹 일당의 댓글 조작이 실검과 연계돼 실행되지 않았나. 국민의힘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변형된 실검 서비스는 여론 선동의 숙주 역할을 할 위험성을 안고 있다”며 “‘고마워요 이재명’ ‘힘내세요 김남국’을 봐야 할 상황이 올지도 모르겠다”고 경고했다.

과거 실검이 여론 조작과 선동의 놀이터로 전락한 일이 되풀이돼선 안 된다. 한국처럼 뉴스 소비를 포털에 의존하는 나라가 없고 가짜뉴스와 거짓 정보도 범람한다. 이런 판에 키워드 서비스까지 가세하면 여론 조작·왜곡 심화로 사회 갈등과 분열을 증폭시킬 게 틀림없다.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의 말처럼 뉴스 포털은 영향력과 파급력의 엄청난 덩치에 비해 저널리즘 책임감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영미와 유럽권이 사용하는 구글은 실검 서비스가 없다. 포털은 실검이나 뉴스 편집 권한을 내려놓고 본연의 검색 업무에 집중하는 게 옳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