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빅터 차, “中 경제적 강압 대처 위해 ‘집단 보복’해야”

미국을 필두로 한국을 포함한 자유민주주의 진영이 중국의 ‘경제적 강압’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집단 보복’을 해야 한다는 미국 전문가의 주장이 나왔다.

 

미국 워싱턴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빅터 차 한국석좌. 세계일보 자료사진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아시아담당 부소장 겸 한국석좌는 24일 한국언론진흥재단·미국동서센터가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주요7개국(G7) 회의 뒤 ‘한·미·일 3자협력’을 주제로 개최한 토론회에서 “중국의 경제적 강압은 외교정책 중 하나”라며 이같이 밝혔다.

 

차 부소장은 “중국의 무역 무기화에 대처하기 위해 바이든 행정부는 전략적으로 중국하고 경쟁하고 있다”며 “일본과 한국은 이러한 (미국 주도의) 공급망 연합체에 참여하고 있고 동시에 중국 보복에 대해서도 두려워하기도 한다”고 언급했다. 차 부소장은 그러면서 여러 국가가 함께 ‘집단 보복’을 함으로써 ‘경제적 억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 가지 아이템에 대해 중국을 강압하거나 한 국가가 단독 조치를 한다면 효과적이지 않겠지만 미국, 한국, 일본 등 국가가 함께 한다면 베이징에 충분한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보복 조치로) 중국의 경제적 강압 조치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며 경제적 억지를 위해선 대안적 공급망 발굴 등 방법도 동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집단 대응’이 “자유시장 민주주의 질서와 맞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면서도 “자유주의 질서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해달라”고 밝혔다.

 

대중 보복 조치가 자유시장 질서와 어긋난다고 볼 수도 있지만 더 시급한 목표인 자유주의 질서를 보호하기 위한 차원으로 생각해달라는 의미다.

 

토론회에 함께 참석한 박철희 국립외교원장은 “미·중관계 때문에 꼭 중국과 디커플링(decoupling·탈동조화)할 필요는 없다”며 “중국에 대한 강한 의존도를 다변화하고 현재 위협을 디리스킹(derisking·위험 제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주형 기자 jhh@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