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획기적인 탄소배출 저감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2037년 폭염에 따른 65세 이상 사망자는 경남 김해·창원시에서만 400명 가까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4년 뒤 인구 1만명 당 폭염위험 고령인구가 많을 시·군·구는 강원 양구군, 충북 음성·증평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일 이주한 한국환경연구원 연구원과 김동현 부산대 교수(도시공학)가 지난해 7월 대한지리학회지에 발표한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별 미래 폭염위험 고령인구의 추정’에 따르면 ‘RCP(대표농도경로) 8.5’(온실가스 저감 없이 현재 추세로 배출) 시나리오를 가정했을 때 2037년 폭염위험 고령인구가 많은 상위 3개 시·군·구는 김해(198.42명), 창원(184.60), 경기 시흥시(137.44명)인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진은 기후변화로 인한 미래의 폭염위험 고령인구를 지역별로 추정하기 위해 1997∼2017년 6∼8월 226개 시·군·구별 일 최고기온 추이와 온열질환 사망자(폭염의 직접 피해)는 물론 간접 결과인 심혈관·호흡계·심폐 질환에 따른 사망자를 분석해 지역별 임계온도(폭염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기온)를 산출했다. 여기에 기상청의 RCP 8.5, 4.2(탄소 저감정책이 상당히 실행되는 경우) 상황별 ‘미래기후전망’(2020∼2040년) 및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2021∼2037년)를 ‘분계점 회귀분석’ 기법으로 종합분석해 2037년 여름철 폭염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있는 인구를 시·군·구별로 산출했다.
분석 결과 별다른 탄소 배출 저감 노력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 계속될 경우(RCP 8.5) 2037년 폭염으로 사망할 수 있는 지역 내 고령인구(65세 이상)가 가장 많은 시·군·구는 김해·창원·시흥시가 1∼3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경북 포항시(107.95명), 대구 북구(104.74명), 부산 사하구(99.40명) 등이 뒤를 이었다.
연구진은 폭염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상대적인 순위를 뜻하는 인구 만명 당 폭염위험 고령인구로 산출했다. 그 결과 강원 양구군(20.85명), 충북 음성군(18.21명), 충북 증평군(16.81명), 충북 괴산군(14.99명), 경북 청송군(14.58명)이 1∼5위를 차지했다. 반면 절대적인 또는 상대적인 폭염위험 고령인구가 적은 하위 3개 시·군·구는 모두 서울 강남구(0.51명, 0.04명), 서울 성동구(0.67명, 0.08명), 전남 여수시(0.83명, 0.09명) 순이었다.
연구진은 “인구 만명당 폭염위험 고령인구는 삼척과 봉화 등 중동부 지역과 음성과 괴산 등 중부 내륙지역, 강원 양구·철원 등 북부 내륙지역 등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며 “여름철 일 최고기온이 높다고 해서 폭염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 것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폭염 영향으로 위험할 수 있는 잠재적 계층을 중심으로 맞춤형 폭염 대응 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