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올해 우리 경제의 상저하고(상반기 부진 이후 하반기 반등) 추세 전망을 유지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생산비용과 고금리 등 금융환경으로 한계기업들 위주의 신용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금융위는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한국개발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LG경영연구원과 함께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회의를 개최했다. 지난 22일 중국 부동산 시장 및 외환 건전성 점검에 이은 두 번째 현안점검 회의다.
참석자들은 미국과 유로존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기가 개선되고 있는 점을 들어 하반기 이후 국내 경제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긴축 장기화 가능성과 중국 부동산발(發) 경제 부진 우려는 하방요인으로 작용해 경기회복 속도의 경우 다소 둔화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코로나 대응과정에서 저금리 기조와 완화된 금융환경에 기업의 잠재 리스크가 점차 누적된 가운데 최근 고물가, 고금리, 긴축적 금융환경 등이 닥치면서 기업의 신용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김 부위원장은 “우리 기업들이 불확실성의 파고를 넘어 순항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금융의 중요한 역할”이라며 “금년부터 여러 관계부처가 함께 참여하는 정책금융지원협의회를 구성해 산업현장의 수요에 기반한 정책금융지원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올해 총 205조원의 정책금융을 공급할 예정으로 5대 중점분야(반도체·이차전지·바이오헬스·ICT신사업 등 26개 업종)에는 91조8000억원을 지원한다. 정부는 지난달 16일 대기업 동반 해외진출 특화상품, 20대 수출전략 분야 정책금융(41조원) 공급, 수출기업 전용 정책금융 상품(13조3000억원) 지원, 무역금융 수수료 인하 등 수출지원대책도 발표했다.
김 부위원장은 “기업이 직접금융시장에 참여하며 실물경제와 금융시장간 상호연계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만큼 주요 산업의 영업환경과 재무상황을 적시에 파악하고 신용위험이 높은 기업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금융시장 안정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이후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대한 금융지원이 종료되면서 관련 대출 부실 문제가 제기된 ‘9월 위기설’에 대해서는 “사실과 다르다”고 다시금 선을 그었다. 김 부위원장은 “소상공인·자영업자 차주에 대한 지원은 9월에 종료되는 것이 아니며 만기 연장은 2025년 9월까지 자동연장 된다”며 “원금·이자 상환유예 차주에 대해서는 금융사와 협의해 작성한 상환계획서에 따라 최장 1년 거치 후 5년 분할상환을 지원함으로써 질서 있는 연착륙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