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韓 직장인 재택근무 34개국 중 최하위…'월 1.6일'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세계 34개국 가운데 한국 직장인의 재택근무 일수가 월평균 1.6일로 가장 적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주거 밀도와 코로나19 봉쇄기간, 직장문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는 설명이다.

 

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스텐퍼드대, 멕시코 기술자치대(ITAM), 독일 lfo 연구소가 지난 4∼5월 34개국 직장인 4만천여명을 대상으로 재택근무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한국 직장인의 월평균 재택근무 일수는 1.6일로 집계됐다.

 

같은 아시아 국가인 일본은 2일, 대만은 2.8일, 중국은 3.2일을 기록해 대부분이 2∼3일 수준에 머물렀다.

 

반면 미국과 영국, 캐나다 등 영어권 구가들은 상대적으로 재택근무 일수가 많았다.

 

재택근무를 가장 많이 하는 국가는 6.8일을 기록한 캐나다였고, 영국(6일)과 미국(5.6일), 호주(5.2일) 등이 뒤를 이었다.

 

유럽에서는 독일과 핀란드, 네덜란드 직장인의 재택근무 일수가 4일로 가장 많았으며 남미에서는 칠레가 월 4일 재택근무를 하고 있었다.

 

NYT에 따르면 연구진은 국가별로 상이한 주거 환경이 이같은 격차를 부른 배경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아시아 국가에서는 작은 아파트에서 여러 명의 가족 구성원과 공간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아 사무실에서 복귀하는 경우가 늘어났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반대로 미국 교외 등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큰 집을 소유한 직장인들이 많기 때문에 더 나은 재택 근무 환경을 갖출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에 따른 각국의 봉쇄기간 역시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연구진은 보고 있다.

 

봉쇄 기간이 짧앗던 국가일수록 재택근무에 충분한 투자가 이뤄지기 힘들었기 때문에 새로운 근무형태가 자리 잡지 못했다는 것이다.

 

ITAM 이코노미스트 호세 마리아 바레로는 "아시아의 여러 국가가 봉쇄를 연장하지 않고도 초기에 코로나 유행을 통제하는 데 성공했다"며 "수개월간 집에서 일하며 재택근무에 적응할 만한 경험이 주어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도 연구진은 상사에게 보다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직장문화를 갖췄는지도 재택근무에 영향을 주는 요인 가운데 하나로 짚었다.

 

NYT는 "한국에서는 많은 직장인이 아예 사무실을 떠나지 않았다"며 그중 반도체 기업 SK하이닉스를 예로 들고, 모든 직원에게 적용될 수 없다는 점에서 재택근무에 부정적인 분위기가 있다고 전했다.


김수연 온라인 뉴스 기자 ksy12@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