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택시요금이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내·시외버스요금도 10%가량 오르며 서민들의 물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 물가뿐만 아니다. 올해 2분기 보험사의 가계대출과 연체율이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민 경제 곳곳에서 불안요소가 커지고 있다는 의미다.
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공공서비스 물가 중 택시료 지수는 120.19(2020=100)로 1년 전보다 19.1% 상승했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9년 1월 21.0% 상승한 뒤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이다.
0%대에 머물던 택시요금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1.5% 오른 뒤 상승폭을 키우고 있다. 지난 7월 17.8% 오른 데 이어 8월에는 상승률이 20%까지 육박했다.
지난달 택시요금 지수가 큰 폭으로 오른 것은 지난해 12월 시작된 지역별 택시요금 인상 효과가 누적된 결과다. 택시요금 인상은 지난해 12월 서울·충북지역 택시의 심야할증 요금이 오르면서 본격화했다. 올해 1월에는 울산·대구 택시요금이 올랐고, 2월에는 서울 택시의 기본요금이 인상됐다. 이어 부산·경남(6월), 인천·광주·대전·경기(7월), 충북·전북·경북(8월) 등의 택시비가 줄줄이 인상됐다.
시내·시외버스요금도 상승세다. 지난달 시내버스와 시외버스 요금은 1년 전보다 각각 8.1%, 10.2% 올랐다. 각각 2016년 6월(9.3%), 2020년 2월(11.4%) 이후 최대폭 상승이다.
대중교통 요금이 잇따라 상승하면서 지난달 공공서비스 물가는 1년 전보다 1.7% 올랐다. 2021년 10월(6.1%) 이후 1년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이다. 올해 2월까지 0%대에 머물던 공공서비스 물가상승률은 3월(1.2%) 1%대로 올라선 데 이어 7월과 8월 두 달 연속 상승폭이 확대됐다.
보험사 대출은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6일 발표한 상반기 보험회사 대출채권 현황에 따르면, 가계대출 잔액은 6월 말 기준 133조7000억원으로, 3월 말 133조원 대비 3개월 새 7000억원이 늘어났다. 반면 기업대출은 6월 말 기준 139조4000억원을 기록, 3월 말(140조원) 대비 6000억원이 감소했다. 가계대출과 기업대출을 합친 전체 대출 잔액은 6월 말 기준 273조1000억원으로, 1분기 대비 1000억원이 늘어났다. 주로 신용이 낮은 사람들이 보험대출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보험대출 잔액 증가는 그만큼 서민들의 ‘돈 빌리기’가 어려워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체율도 가계대출의 경우 2분기 말 기준 0.46%를 기록해 1분기 말 대비 0.03%포인트 늘어난 반면 기업대출은 0.22%로 1분기 대비 0.02%포인트 내려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