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잠실주경기장을 대체야구장으로? 1만8000명 한 통로 몰려”

서울시, ‘잠실돔’ 관련 논란에 설명자료 내

북미 출장 중인 오세훈 서울시장이 서울 잠실야구장을 2031년까지 국내 최대 규모인 3만석 이상의 ‘호텔 일체형’ 돔구장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힌 뒤 야구계 등에서 “대책 없는 일방통행”이란 비판이 일자 서울시가 20일 “사실과 다르다“며 조목조목 설명에 나섰다.

 

서울시는 이날 설명자료를 내 “시는 잠실야구장을 새로 건립하기 위해 KBO(한국야구위원회)와 LG, 두산 등 현 구장을 사용하는 구단의 입장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며 잠실돔구장 신축 기간 동안 대체구장에 관한 입장을 밝혔다. 시는 “당초 한강변에 공사비 1600억원의 개방형 야구장을 건립하려 했으나, 기존 위치에 공사비가 2배 이상 필요한 돔구장 건립을 결정한 것도 KBO와 야구계의 요청사항을 적극 반영한 결과”라고 반박했다.

 

 잠실 스포츠·MICE 복합공간 조성사업안 조감도. 서울시 제공

앞서 야구계는 시에 △대중교통 접근성 등을 고려해 현 잠실 야구장 위치 유지 △활용폭이 넓은 복합 돔구장 건립 △현 야구장 위치에 신축하게 될 경우 공사 중 대체구장은 잠실주경기장 활용 검토 등 크게 3가지 사항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오는 2026년 상반기 돔구장 건설을 시작해 2031년 말 준공할 계획이다. 기존 잠실야구장의 경우 2025년 프로야구 시즌을 마친 뒤 2026년부터 해체·철거 작업에 들어간다.

 

시는 “대체구장으로 목동운동장, 효창운동장 등 여러 대안을 검토하기도 했으나, 야구계의 요청사항을 적극 반영해 잠실주경기장을 대체구장으로 개조하는 시설계획안을 마련한 바 있다”며 “하지만 잠실 민자사업 단지 배치가 확정되고 최근 설계·시공 스케줄이 확정되면서 대체구장을 이용하는 대부분의 기간 잠실운동장 전역에서 공사가 진행되고 탄천동로도 지하화 공사로 접근이 불가해 관람객 진출입이 봉은교를 통해서만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부연했다.

 

잠실주경기장을 대체구장으로 활용할 경우 약 1만8000석 규모로 조성될 수 있으나, 경기가 종료된 이후 일시에 관람객이 하나의 통로로 집중해서 단시간 내 빠져나오게 되므로 대규모 다중인파사고와 같은 상황에 노출될 우려가 크다고 시는 우려했다. 봉은교의 경우 잠실주경기장 게이트보다 5.5m 높은 위치에 있어 관람객들은 임시로 설치한 폭 6m, 길이 약 100m의 임시경사로를 통해서만 봉은교로 진입할 수 있다고 한다.

 

시는 “잠실주경기장은 중대재해법상 공중이용시설로서 관람객의 안전이 최우선적으로 확보돼야 하는 시설로, KBO와 양 구단이 참여하는 재난안전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했다”며 “그 결과 대체구장으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시는 “이후 KBO와 양 구단이 종합운동장역에서 진입하는 남측 진출입로를 추가 확보해 줄 것을 요청함에 따라 이를 검토하기도 했다”며 “이 경우에도 최소 300m 이상의 공사구역 통과로 관람객 안전이 담보되지 않고, 약 1년 이상 잠실돔구장 준공이 늦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는 “잠실주경기장 활용방안에 대한 지금까지의 검토 결과를 KBO 측과 공유했고 앞으로도 KBO, 양 구단과 함께 대체구장 마련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시와 건설전문가, 안전전문가, 야구계가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