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청년층 가계대출금 4년 새 27%↑… 과도한 차입 관리해야”

한은 ‘금융안정 보고서’

2분기 기준 1인 8000만원 육박
증가 폭 모든 연령대서 가장 커
실거주용 매입↑… ‘영끌’ 대출 늘어
소득 대비 부채비율 39%P 올라
취약차주 중심 연체율 치솟아
DSR 적용 확대 등 대비책 강조

30대 이하 청년층의 1인당 가계대출금이 8000만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 사이 27%나 급증했다. 소득대비총부채비율(LTI)도 3년여 만에 40%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가계대출금, LTI 모두 전 연령층 중에서 가장 가파른 증가세다.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영향으로 주택 관련 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청년층의 연체율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한은이 26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2023년 9월)’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청년층(30대 이하)의 1인당 가계대출금은 7927만원으로 2019년 2분기(6244만원) 대비 27.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4일 서울 시중 은행에 대출금리 안내문 모습. 연합뉴스

청년층의 1인당 가계대출금 증가 폭은 모든 연령층 가운데 가장 컸다. 중장년층(40∼50대)의 1인당 가계대출금은 이 기간 9.3% 늘어나는 데 그쳤다. 고령층(60대 이상)은 1.2%로 거의 변동이 없었다.

실거주용 주거 관련 대출을 늘리면서 청년층의 대출이 크게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올해 2분기 청년층 1인당 주택 관련 대출금(5504만원)은 전체 가계대출 중 거의 70%를 차지했는데, 4년 전(3839만원)에 비해 30% 넘게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신용대출 증가 폭(19.4%)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실제 올해 2분기 청년층의 주택 매입 비중은 33.1%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40대(32.5%), 50대(19.9%)가 뒤를 이었다. 1분기에는 40대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한 분기 만에 뒤집혔다. 15억원을 초과하는 고가주택 매입 비중은 40대(40.2%)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가계대출 규모를 늘려 실거주용 주택을 매입하는 청년층이 늘어난 셈이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청년층이) 전세자금대출 확대와 함께 대출 접근성 개선 및 특례보금자리론 공급 등에 힘입어 주담대를 활용한 실거주용 주택 구입을 늘리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체증식 상환, 만기 장기화 등을 통해 대출 초기에 원금 상환 부담을 낮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소득에 비해 가계대출을 늘리는 속도도 청년층이 가장 빠르다. 청년층 차주의 소득 대비 채무(가계대출+개인사업자대출) 부담 비율은 262%로 2019년 4분기(223%) 대비 39%포인트 올랐다. 연 소득의 2.6배를 빚으로 안고 있다는 의미다. 같은 기간 중장년층(35%포인트), 고령층(16%포인트)의 상승 폭을 앞섰다.

청년층의 연체율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안정적이나, 문제는 최근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은은 취약차주를 3곳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은 다중채무자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대출자로 정의한다. 올해 2분기 청년층의 전체 연체율은 0.58%로 다른 연령층(0.81%)보다는 낮은 수준이었지만, 취약차주의 연체율은 8.41%로 2년 전(5.39%) 대비 3%포인트 넘게 늘어났다. 같은 기간 다른 연령층 증가 폭(2.32%포인트)보다 가파르게 확대됐다. 최근 5년(2017년∼2022년) 사이 자산 대비 부채 비율도 청년층만 늘어나고 있어, 부채 상환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과도한 청년층 가계빚으로 인한 위험이 커지지 않도록 부채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되는 대출을 확대하고, 장기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상환능력 심사를 강화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한은은 “중장기적으로는 주택시장의 가계대출 의존도를 낮추면서, 일시상환 방식의 기존 대출도 일부 원금상환이 이뤄지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병훈 기자 bhoo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