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해마다 800여명… 매일같이 반복되는 ‘노동자의 죽음’

오늘도 2명이 퇴근하지 못했다/신다은/한겨레출판사/1만8500원

 

하루에 두 명이 일터에서 돌아오지 못한다. 매일같이 누군가 끼여서 죽고, 떨어져 죽고, 불에 타 죽고, 질식해 죽고, 감전돼 죽는다. 그렇게 매년 800여명이 일하다가 사고로 목숨을 잃지만, 많은 사고가 공장 담을 넘지 못하고 은폐된다. 기껏 알려진 사고들도 대개 몇 줄짜리 단신 보도에 그쳐 사고의 근본 원인을 전하는 데 실패한다.

한겨레 기자로 크고 작은 재난 현장을 취재하던 저자는 노동 분야를 맡으면서 일터에서도 매일 재난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깨닫고, 누구도 일하다가 죽지 않는 세상을 만드는 데 작은 보탬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 그는 김용균, 이선호, 구의역 김군, 김다운 등 대표적인 사고들을 통해 ‘일터의 죽음’을 낳는 구조적 원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신다은/한겨레출판사/1만8500원

책은 2021년 평택항에서 숨진 이선호씨로부터 시작한다. 유난히 애교 많은 막내이자 장애가 있는 누나를 보호자처럼 챙기던 듬직한 동생, 아버지에게 ‘삶의 희망’이었던 아들은 작업 도중 갑작스럽게 쓰러진 컨테이너 날개에 깔려 사망했다. 함께 평택항에서 일하던 아버지, 아들과 “친구처럼 같이 아침밥 먹고 차 타고 다닐 수 있어서” 기뻤다는 재훈씨는 사고를 당해 “자는 듯이 엎드린 아들 모습”을 본 뒤, 아들 죽음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 투사가 됐다.

2부 ‘위험이 재난이 되는 순간’에서 저자는 산업재해(산재)가 ‘생산과 효율이 안전을 압도할 때 사고가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일터의 위험이 어떻게 사고로 이어지는지, 사고를 막으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좀처럼 이뤄지지 않는다.

기업은 일터에 존재하는 위험 요소를 언급하는 일이 조직의 치부를 드러내는 것이라 여겨 사고가 발생하면 ‘노동자 과실’로 몰거나 은폐하려는 유혹을 느낀다. 정부는 처벌에만 집중해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기보다 법 위반 행위를 찾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노조나 언론도 체계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거나 구조적 원인을 규명하는 데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듯 산재는 다양한 관계자가 벌이는 서사의 싸움이다. 이 싸움의 결과에 따라 그간 무시됐던 위험한 노동 환경이 드러나기도 하고, 개인의 부주의로 치부됐던 사고를 조직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게 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산재를 안다는 것은 무엇보다도 “떠나간 이들의 죽음을 가벼이 여기지 않고 마음 깊이 추모”하는 일이다. 그때에야 비로소 일터의 이름 없는 죽음들을 제대로 애도하고 비슷한 사고가 반복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산재 조사는 “죽은 이를 추모하는 부고장인 동시에 또 다른 죽음을 막겠다는 산 자의 다짐”이다.

저자는 그렇게 오늘도 되풀이되는 일터의 죽음을 몇몇 사람만의 몫으로 여기지 않고 우리 모두의 사회적 기억으로 만들기 위한 긴 여정의 첫걸음을 이 책을 통해 걷고 있다.


이복진 기자 bo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