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기초지자체 3곳 중 1곳… 1시간 거리 내 ‘병원’이 없다 [뉴스 투데이]

국립중앙의료원 모니터링 결과

강원·경북·충남順 의료취약 많아
소아과 취약 27곳·중증의료 98곳
분만 취약지 영덕·진도 등 108곳
인천 뺀 특별·광역시 1곳도 없어

119구급차 병원 이동거리도 격차
경북 20㎞… 인천 5.8㎞의 3.5배

與 6일 필수의료혁신 TF 첫회의

전국 시·군·구 3곳 중 1곳가량은 1시간 이동거리에 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중증응급 치료를 받을 병원급 이상이 없는 ‘의료 취약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과목별 의료취약지는 산부인과, 응급의료, 소아청소년과 등이었고 지역별 비율로는 강원, 경북, 충남 등의 순이었다.

5일 국립중앙의료원의 ‘2022년 의료취약지 모니터링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12월 기준 전국 250개 시·군·구 가운데 분만과 소아, 중증·응급 등 필수의료 분야에서 1시간 이내 적정한 치료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이 없는 시·군·구는 85곳(34.0%)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연합뉴스

의료취약지는 대체로 △의료 수요에 제한이 있으며 △보건의료자원에 대한 접근이 곤란하고 △환자를 적절한 의료기관에 이송하기 어려우며 △양질의 의료이용이 충족되지 못하고 △건강수준 및 건강결과가 낮은 지역을 뜻한다. 연구진은 대체로 60분(분만·소아·화상·투석 등) 또는 90분(신생아집중치료, 특수검진 등) 내 도착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 없는 인구비율이 30% 이상이거나 의료이용률이 30% 미만인 시·군·구를 의료취약지로 분류한다.

연구진은 의료취약지를 크게 분만, 응급의료, 2차의료(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등) 취약지로 구분했다. 분만의료취약지의 경우 전체 시·군·구(250개)의 43.2%인 108곳이었다. 의료기관 접근성과 이용률 모두가 취약한 A등급 취약지는 영덕·영양·청송군 등 경북 8곳, 진도·완도군 등 전남 6곳, 인제·화천 등 강원 4곳을 비롯해 30개 시·군·구였다. 분만 의료기관 접근성과 이용률 중 하나만 해당하는 B등급 취약 시·군·구는 강원·충남·전북·경남 3곳씩 등 17곳이었고, A·B등급 기준까지는 아니지만 분만실 운영이 어려운 C등급은 61개 지역이었다.

소아청소년과 의료취약지 역시 서울 등 수도권에서 먼 시·도일수록 많은 시·군·구가 포함됐다. 봉화·성주·영양 등 경북에서 5곳, 고성·인제·홍천 등 강원서 5곳, 구례·보성 등 전남 4곳 등 전국 27개 시·군·구가 소아과 취약지로 분류됐다.

중증·응급의료 분야 취약지도 지역마다 크게 달랐다. 응급의료취약지는 권역응급의료센터(전국 40곳)에 1시간 이내 도달이 불가능하거나 지역응급의료센터(권역 포함 166곳)에 30분 이내 도달이 불가능한 인구가 30% 이상인 경우 해당된다. 연구진에 따르면 강진·고흥·신안군 등 전남 17곳, 고령·봉화·울릉군 등 경북 16곳, 양구·철원·횡성 등 강원 15곳을 포함해 전국 9개 시·도 98개 시·군·구가 응급의료취약지로 분석됐다.

119구급대가 소방관서에서 출동해 현장을 거쳐 의료기관에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 역시 지역별로 큰 차이가 났다. 가장 긴 경북이 20.3㎞로, 가장 짧은 인천 5.8㎞의 3.5배나 됐다. 서울(6.7㎞)과 부산(7.8㎞), 대구(8.7㎞), 광주(7.0㎞) 등 특별·광역시 구급차량 이동거리는 충남(20.0㎞)과 전남(18.6㎞) 등 도 지역에 비해 훨씬 짧았다.

중증외상과 심뇌혈관 응급환자의 관내 의료기관 이송률은 충남 76.1%, 72.7%, 전남 75.0%, 69.4%, 경북 74.1%, 74.4% 등에 그쳤다.

연구진은 이들 각 과목·분야별 의료취약도를 종합분석한 결과 전체 시·군·구 3곳 중 1곳가량(34.0%)이 의료취약지로 분류됐다고 덧붙였다. 비율로 따지면 강원(15곳, 83.3%), 경북(16곳, 66.7%), 충남(10곳, 62.5%), 전남·경남(12곳씩, 54.5%씩) 등의 순이었고, 강화·옹진군이 포함된 인천을 제외한 8개 특별·광역시는 취약 시·군·구가 한 곳도 없었다.

한편 국민의힘은 6일 지역·필수의료 혁신 태스크포스(TF) 첫 회의를 연다. 국민의힘 유의동 정책위의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국회 보건복지위 중심 의원 7명, 의료계·학계 민간위원 7명으로 구성된 TF는 첫 회의에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지원, 의사 인력 확대 방안 등을 두고 토론을 벌인다.


송민섭 선임기자, 박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