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기자가만난세상] ‘이기면 장땡’ 정치

“총선 승리가 바로 혁신 아니겠나.”

올 6월 식사 자리에서 더불어민주당 한 지도부 인사로부터 이런 말을 들은 적 있다. 요즘은 국민의힘이 이른바 ‘혁신’으로 시끄럽지만 당시만 해도 민주당이 김은경 혁신위원회를 띄운 지 얼마 안 된 터였다. 친명(친이재명)계가 대의원제 폐지를, 비명(비이재명)계는 도덕성 회복 등을 주장하며 혁신에 대한 의견 차가 한창 부각되던 때였다. 그런 얘기가 오가던 중 견해를 물었더니 그 지도부 인사가 다른 무엇도 아닌 ‘총선 승리’가 곧 혁신이라 한 건데, 그게 꽤 인상적이라 오래 기억에 남았다. 과장을 좀 하자면, 신화 속 고르디우스의 매듭을 단번에 잘라버린 고대 마케도니아 군주 알렉산드로스의 칼질 같은 시원함이 있었달까.

김승환 정치부 기자

그러다 최근 이 말을 다시금 곱씹게 된 건 여당의 ‘메가 서울’에 대한 민주당 대응을 보면서였다.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가 지난달 말 김포 서울 편입 추진 의사를 밝힌 이후 수일간 민주당 지도부는 찬반 입장을 내놓지 못했다. 이런 미적지근한 대응을 놓고 당내에서부터 곧장 비판이 따랐다. 행정안전부 장관 출신인 김두관 의원이 “지방자치를 시작한 김대중, 균형발전의 길을 연 노무현의 정신을 계승하는 정당이 맞는지 의심스럽다”고 했다. 다른 민주당 관계자도 사석에서 “당의 철학을 저버리는 행태”라고 했다.

답은 간단하다. 지도부는 김포 서울 편입에 섣불리 반대했다간 수도권 민심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 계산했다. 결국 당의 철학이나 김대중·노무현 정신보다 우선하는 게 있었던 것이다. 5개월여 전 혁신에 대한 질문에 쾌도난마하던 지도부 인사의 말을 빌리자면, “총선 승리가 바로 당의 철학이자 정신”이기에 균형 발전이 설 자리가 없었다.

속된 말로 ‘이기면 장땡’이란 것이다. 이 논리는 현 민주당의 근간을 이루는 듯하다. 김은경 혁신위만 해도 그렇다. 그 숨통을 완전히 끊은 건 혁신위원장의 실언이 아니라 10·11 서울 강서구청장의 보궐선거 승리라 봐야 한다. 혁신위의 1호 혁신안인 ‘불체포특권 포기’는 의원총회 의결까지 거쳤지만 이재명 대표가 당에 체포동의안 부결을 요청하면서 박살났다. 우여곡절 끝에 이 대표의 구속영장이 기각되고 강서구청장 보선까지 이기면서 1호 혁신안은 그 흔적도 찾기 어렵게 됐다.

이게 엄연한 현실인지도 모른다. 결국 정당은 선거에 이기기 위해 혁신하고 정책을 낸단 말이 완전히 틀린 건 아닐 터다. 그러나 정녕 그게 전부여도 되는 걸까. 승리만 보장되면 약속을 깨고 당의 정체성을 무시해도 되는 거라면 정치가 이전투구 이상이 될 수 없을 테다.

코로나19 팬데믹 초기던 21대 총선(2020년 4월15일) 열흘 전 당시 야당인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은 전 국민 1인당 50만원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약속했다. 정부여당의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에 “매표 행위”라 비판하던 데서 말을 뒤집은 것이었다. 이기면 장땡은 민주당만의 얘기가 아니다.

역사는 반복된다는데, 최근 메가 서울에 ‘표퓰리즘’이라 비판 중인 민주당이 22대 총선에 임박해 혹여 ‘그레이트 서울’을 발표하는 촌극이 벌어지는 건 아닐지 모르겠다. 우리 정당들이 원칙 없는 승리에 목을 매는 사이 한국 정치는 연일 패배 중이다.


김승환 정치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