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자녀가 있는 여성 10명중 6명 직장생활 중… 경력단절여성은 4만8000명 감소

미성년 자녀를 둔 여성 10명 중 6명이 ‘워킹맘’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작성 이래 최대치다. 워킹맘이 증가함에 따라 경력단절여성 비중은 최저치를 기록했다.

 

2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기혼여성의 고용현황’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15∼54세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0.0%로 1년 전보다 2.2%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6년 이래 최고치다. 

 

여성의 나이가 많을수록 고용률도 높아졌다. 50~54세의 고용률이 67.3%로 가장 높았으며, 45~49세(65.1%), 40~44세(61.0%), 35~39세(57.2%), 30~34세(52.7%), 15∼29세(41.8%) 순이었다.

 

자녀 수별 고용률을 보면 자녀가 1명인 경우가 61.2%로 가장 높았으며, 2명일 때 59.3%, 3명 이상인 경우 56.6%였다. 자녀 수가 많을수록 고용률이 낮게 나타난 것이다.

 

아울러 자녀가 어릴수록 고용률은 낮게 나타났다. 6세 이하의 자녀를 가진 기혼여성은 52.3%가 직장을 다니고 있었고, 7~12세는 62.6%, 13~17세는 68.3%가 경제활동을 했다.

 

미성년 자녀를 가진 기혼여성이 가장 많이 종사하는 산업은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8.2%)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서비스업(16.1%), 도매 및 소매업(12.9%)이 뒤를 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해 유자녀 기혼여성의 일자리 질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대비 1.9%포인트 증가한 79.9%(171만6000명)였다. 평균 취업시간도 35.7 시간으로 0.1시간 늘었다.

 

이에 따라 경력단절여성은 줄었다. 경력단절여성은 가족돌봄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둬 현재 미취업 상태인 여성을 의미한다. 지난 4월 기준 경력단절여성 수는 134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8000명 감소했다. 경력단절을 유발하는 결혼과 출산이 줄어든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경력단절여성 비중도 17.0%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관련 통계작성이 시작된 2014년 이래 최저치다.

 

경력단절 사유로는 ‘육아’가 42.0%로 가장 많았다. 결혼(26.2%)과 임신·출산(23.0%), 자녀교육(4.4%), 가족돌봄(4.3%)이 뒤를 이었다.

 

      


채명준 기자 MIJustic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