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과 고령층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증가하는 등 고용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지만 빈 일자리와 청년 니트족 문제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한국노총이 참여하는 사회적 대화를 통해 민간 일자리 창출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열린 ‘제11차 일자리전담반(TF) 회의’에서 “노사와 함께 머리를 맞대 합리적 방안을 마련하고 민간 일자리 창출력이 제고되도록 정책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고용부에 따르면 지난달 고용률은 63.3%, 실업률은 2.1%로 각각 10월 기준 역대 최고와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제조업 중심의 빈 일자리 문제와 ‘쉬었음’ 청년 증가 문제는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빈 일자리는 9월 기준 21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5200명 줄었다.
이 차관은 “그동안 세 차례의 ‘빈 일자리 해소 방안’을 통해 빈 일자리가 감소한 것은 긍정적”이라면서도 “주요 산업현장에는 여전히 일할 사람을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재학-재직-구직 단계별 지원 강화를 위한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방안’을 최근 발표했다”며 “이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중국을 중심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하면서 고용지표는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중국 방한관광객이 200만명 정도 유입되고, 이에 따른 취업유발 효과가 6만6000명에서 최대 7만9000명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했다. 중국 방한관광객의 지출 규모 등을 고려하면 도소매업에서 3만2000명, 숙박음식업에서 2만4000명의 취업유발효과가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회의에서는 연령대별 고령자 고용현황도 논의됐다. 60세 이상 고용률은 올해 1~10월 평균 45.6%로 지난해(44.5%) 대비 상승했다. 60대는 제조, 도소매, 보건복지(상용직) 등 민간일자리를 중심으로 증가한 반면 70세 이상은 보건복지업(임시직) 중심으로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기재부는 “고령자의 일자리 구조는 일본보다 농림어업·보건복지업 비중이 높고, 제조·건설·도소매 비중이 낮은 편”이라면서 “베이비붐(1955~1963년 출생) 세대들이 다양한 산업군으로 진출할 수 있게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