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산업 생산과 소비, 투자가 전월 대비 모두 줄어드는 ‘트리플 감소’가 발생했다. 반도체 생산이 11% 이상 감소하는 등 제조업 생산이 3% 이상 줄었고, 소비 부분에서도 소매판매가 한 달 만에 감소로 전환되는 등 산업 활동의 주요 지표가 모두 부진했다.
정부는 8∼9월 생산이 큰 폭으로 증가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했다고 밝혔지만 고금리 장기화로 소비 회복 속도가 예상보다 지체되고 있어 경기 불확실성은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더딘 소비 회복세 등의 영향으로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전망보다 소폭 낮췄다. 3연속 하향 조정이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0월 전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1.6% 감소했다. 이는 2020년 4월(-1.8%) 이후 3년 6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생산·소비·투자가 모두 감소한 것은 지난 7월 이후 석 달 만이다.
쉽게 살아나지 않는 소비는 한은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에도 영향을 미쳤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내년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8월 전망 당시(2.2%)보다 0.1%포인트 낮은 2.1%로 제시했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2월 2.4%에서 5월 2.3%로 소폭 내린 데 이어 8월과 이달까지 3연속 하향 조정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성장률은 국내외 통화 긴축 기조 장기화와 더딘 소비 회복세의 영향으로 지난 8월 전망치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은은 내년 국내 경기가 수출·설비투자 회복에 힘입어 개선 흐름을 이어가겠지만,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 모멘텀은 약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의 올해와 내년 민간소비 증가율 전망치는 올해와 내년 모두 1.9%로, 지난 8월 전망보다 각각 0.1%포인트, 0.3%포인트 하락했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올해 300억달러에서 내년 490억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총재는 “국제적으로 봤을 때 2% 이상의 성장률은 그렇게 나쁜 성장률은 아닌 상황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성장률이) 너무 낮아서 (경기) 부양을 하고 금리도 낮추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냐 하면 제 대답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한은의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과 달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전날 우리나라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0.2%포인트(2.1%→2.3) 높인 것과 관련한 질의에는 “OECD가 우리 교역 대상인 미국과 중국 성장률을 저희보다 높게 예측해 우리 수출도 더 나아질 것으로 본 것 같다”고 답했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4%로 기존 전망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3.5%에서 3.6%로, 내년 전망치는 2.4%에서 2.6%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2025년 경제성장률은 2.3%, 같은 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를 각각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이날 열린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금통위원 전원 일치로 또다시 현 기준금리(3.5%) 동결을 결정했다. 7연속 동결이다.
금통위는 “물가상승률이 당초 예상보다 높아졌지만 기조적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가계부채 증가 추이와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도 큰 만큼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고 설명했다.
금통위원 6명 가운데 4명은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나머지 2명은 물가뿐 아니라 성장과 금융안정 등을 함께 고려할 때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는 게 적절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총재는 “어느 정도 기준금리를 유지할지는 달력으로 몇 개월이라고 이야기하고 싶지는 않다”며 “지금 상황에서 보면 6개월보다 더 될 것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지만, 6개월이 될 수도 있고 덜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