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시절인 2018년 8월을 마지막으로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중단된 가운데 현재 한국에 생존해 있는 이산가족이 4만명도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가족 상봉은 정치·군사 분야와 무관한 인도주의적 사안인 만큼 북한이 우리의 상봉 재개 요구에 서둘러 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9일 통일부에 따르면 올해 10월 말 기준 4만99명이었던 등록 이산가족 수가 11월 말에 3만9881명으로 줄었다. 이는 이산가족 대부분이 80·90대 고령자인 상황에서 사망자가 꾸준히 늘기 때문이다. 정부가 이산가족 등록 및 상봉 신청을 받기 시작한 이래 집계된 국내 전체 이산가족 13만3983명의 약 70%에 이르는 9만4102명은 이미 숨졌다. 특히 이산가족 상봉이 중단된 2018년 8월 이후 사망자만 1만8000여명에 달한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김대중정부 시절인 2000년 8월 시작해 약 18년간 총 21회 열렸다. 2019년 2월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후 북·미관계는 물론 남북관계도 급속히 경색되며 5년 넘게 열리지 않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정부는 설, 추석 등 명절 때마다 북한에 이산가족 상봉 재개를 촉구했으나 북한은 차갑게 외면하는 중이다. 올해 1월22일 설날을 맞아 경기 파주 임진각 망배단에서 열린 망향경모제(望鄕景慕祭)에 참석한 김기웅 당시 통일부 차관은 “혹시라도 이번 설에는 이산가족 상봉의 소식이 들려오지 않을까 일말의 기대를 가지셨을 분들께 당국자로서 죄송스러울 뿐”이라고 고개를 숙였다. 이어 “지난해(2022년) 추석의 이산가족 당국 회담 제의를 포함해 우리 정부의 모든 제의는 유효하다”며 “대화의 문은 열려 있다. 정부는 모든 노력을 다해나가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