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최근 3년간 수능 수학·과탐 상위권 남학생 우세”

최근 3년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과 과탐 과목에서 최상위권 학생 다수가 남학생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2024학년도 수능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자 중 남학생은 84.3%, 여학생은 15.7%로 분석됐다.

 

2022학년도와 2023학년도 수능 수학도 마찬가지다. 2022학년도는 수학영역 표준점수 최고점자 가운데 남학생이 80.1%였으며 2023학년도는 85.3%였다. 1등급(상위 4%) 기준 또한 남학생이 2022학년도 75.3%, 2023학년도 74.0%, 2024학년도 73.7%로 여학생보다 높았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지난 2023년 11월 16일 한 시험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뉴스1

과학탐구 영역에서도 성별 간 성적 격차를 보였다. 2024학년도 과탐 과목별(8개 과목 합산) 표준점수 최고점자 중 남학생은 71.3%로 28.7%인 여학생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남학생의 과학탐구 표준점수 최고점자 비율은 2022학년도 79.1%, 2023학년도 85.9%, 2024학년도 71.3%였다. 1등급을 기준으로 했을 때도 2022학년도 70.5%, 2023학년도 69.4%, 2024학년도 69.9%로 남학생이 많았다.

 

반면 사회탐구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우세했다. 2024학년도 수능 사탐 표준점수 최고점자(9개 과목 합산) 중 여학생 비율은 59.1%였다.

 

국어 과목은 남학생 중 표준점수 최고점자가 많았는데 53.1%로 46.9%인 여학생보다 조금 우세했다.

 

종로학원은 이러한 상황이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으로 더 뚜렷해지고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치러야 하는 탐구영역에서 여학생들의 부담이 커질 것이라 지적했다.

 

종로학원은 “대입제도 개편으로 수학에 강한 이과(미적분, 기하) 학생들과 같이 경쟁하는 구도로 전환되면 수학에서 여학생이 현재보다 고득점 확보가 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며 “2028 수능을 치르는 학년(현 중2)에서는 이러한 점을 향후 학습전략 수립에 참고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민경 기자 mi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