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최근 5년 내 최고’라는 대학 취업률이 불편한 이유 [송민섭의 통계로 본 교육]

2022년 고등교육기관 취업통계

대학·대학원 70%… 5년새 3%P 올라
인문 석·박사 초임, 학사 출신 1.2배
기회비용比 대학원 진학 편익 적어
취업률 제고만큼 기초학문 육성 시급

“최근 5년 내 가장 높은 수치 기록”.

교육부가 최근 ‘2022년 고등교육기관 취업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보도자료에서 내건 제목입니다. 제목 그대로입니다. 2022년 대학·대학원 졸업자 취업률은 69.6%였는데, 전임 정부 집권 1년차였던 2017년 취업률 66.2%보다도 3.4%포인트 높습니다.

구체적으로 일반대학 취업률은 2017년 62.6%에서 2022년 66.3%로, 전문대학은 69.8%에서 72.9%로, 일반대학원은 77.7%에서 83.1%로 상승했습니다. 학령인구 감소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교육대학의 취업률만 같은 기간 72.9%에서 61.0%로 11.9%포인트나 떨어졌네요.

 

교대 얘기가 나온 김에 전공계열별 취업률을 살펴봤습니다. “문송합니다”(문과라서 죄송합니다)는 말이 절로 나왔습니다. 2022년 취업률 평균 이상인 전공계열은 의약(83.5%), 공학(69.6%), 예체능(66.9%)뿐이었습니다. 자연계열과 사회계열 취업률은 각각 63.0%와 64.1%로 평균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인문(59.3%)과 교육(51.4%)계열 취업률은 심각하네요.

대학원의 전공계열별 순위는 대학과 약간 달랐습니다. 2022년 대학원 졸업자의 경우 의약(90.0%), 공학(88.1%), 사회(83.2%), 자연(81.8%), 교육(81.3%), 예체능(71.1%), 인문(66.4%) 순으로 취업률이 높았습니다.

일자리의 질 차이는 어떨까요? 임금 수준이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교육통계 당국은 2017년부터 고등교육기관 졸업 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된 취업자(2017년 90.3%, 2022년 89.6%)의 초임 등에 관한 ‘상세(질적)정보 분석 자료’를 내놓고 있습니다.

 

이에 따르면 2022년 학부(일반·전문대학) 졸업자의 월 평균 초임은 272만3000원이고 일반대학원(석·박사) 졸업자는 496만8000원입니다. 학부의 경우 2017년(231만5000원)보다 40만8000원(17.6%) 올랐고 대학원은 같은 기간 53만9000원(12.2%) 올랐습니다.

전공계열별로도 급여 차이가 큽니다. 2022년 학부 졸업자의 경우 의약(303만원), 공학(297만9000원), 사회(260만6000원), 자연(254만4000원), 인문(250만4000원), 교육(233만원), 예체능(222만1000원) 순이었습니다. 2017년과 비교해보면 의약(59만9000원, 24.6%)과 예체능(39만원, 21.3%), 교육(38만8000원, 20.0%)계열이 20% 이상의 초임 증가율을 보였고, 인문(34만7000원, 16.1%)과 공학(37만4000원, 14.4%), 사회(31만4000원, 13.7%)계열은 10%대, 자연계열은 7.8%(16만9000원) 인상에 그쳤습니다.

2022년 석·박사 출신 취업자의 초임은 의약(737만6000원), 사회(533만2000원), 공학(498만5000원), 자연(402만원), 교육(387만8000원), 인문(307만9000원), 예체능(307만4000원) 순으로 많았습니다. 6년 전과 비교해보면 자연(60만3000원, 17.6%), 공학(65만8000원, 15.2%), 의약(82만9000원, 12.7%), 사회(47만9000원, 9.9%), 인문(27만3000원, 9.7%), 교육(26만6000원, 7.4%), 예체능(19만9000원, 6.9%)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습니다.

의약계열을 제외한 석·박사 출신들 초임이 학사 출신의 1.2배(인문)∼2.0배(사회)라는 통계를 보고 급우울해졌습니다. 1년에 1000만원가량의 등록금을 내면서 2∼8년 대학원을 다닌다 해도 그간의 기회비용을 상쇄할 만한 일자리를 구할 가능성이 작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2022년 대학원으로 진학률이 왜 6.7%에 불과했고, 대학원생 학업중단율이 5.4%에 달했는지도 이해가 됐습니다.

일반대학(원)은 고등교육법상 “국가와 인류 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심오한 학술 이론과 응용 방법을 연구”하는 곳입니다. 당국이 산학협력, 대학 혁신, 취업률 제고만큼이나 기초학문 육성을 위한 과감한 지원 목소리도 키웠으면 좋겠습니다.


송민섭 기자 stsong@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