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이 체내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2)를 활성화했을 때 모발의 성장을 유도·촉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다.
서울대병원 피부과 권오상 교수 연구팀은 17일 ALDH2의 활성도를 높이면 세포 내 에너지 대사를 촉진해 모발 성장주기를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모낭은 모발을 만들어내는 주머니로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를 반복한다.
만약 이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탈모가 생길 수 있다. 휴지기 이후 성장기가 이어져야만 머리카락이 다시 자라는데, 성장주기에 진척이 없으면 가늘어진 모발이 탈락하며 탈모로 이어질 수 있다.
연구팀은 모낭의 휴지기를 성장기로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체내 세포의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ALDH2에 주목했다.
ALDH2는 알코올을 분해할 때 나오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해독해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소다.
그동안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가 탈모와 연관 있다고 알려져 왔는데, 연구팀은 ALDH2가 모발 성장과 산화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효소의 활성도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은 ALDH2 활성화제를 투입해 휴지기 모낭과 성장기 모낭의 활성도 차이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ALDH2는 모발을 만드는 모낭의 상피세포층에서 가장 뚜렷하게 발현됐고, 모낭의 성장기에 가장 활성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모낭의 휴지기에는 미미하게 발현됐다.
연구팀은 효소의 활성화 정도가 모낭의 휴지기에는 미미하다가 성장기로 바뀌었을 때 증가하는 점을 고려해 해당 효소가 모발의 성장을 유도한다고 판단했다.
동물실험에서도 ALDH2 활성화가 모발의 길이 성장을 촉진하고, 모낭의 성장기 전환을 가속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ALDH2를 활성화하면 이미 탈모 치료제로 쓰이고 있는 ‘미녹시딜’과 유사한 수준의 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ALDH2의 활성화는 모낭 형성과 유지에 관여하는 체내 단백질인 베타카테닌 증가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안드로겐성 탈모를 포함해 여러 탈모에 대한 치료 전략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권 교수는 “ALDH2 활성화가 모낭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했다”며 “모낭의 성장기 단계 진입과 유도를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의 가능성을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어드밴스드 리서치’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