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유승민, ‘이준석 러브콜’에도 국민의힘 잔류한 이유

제3지대 노선에 대한 인식차

친유승민계 분화에 따른 한계

등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과 친윤계를 공개 비판해온 유승민 전 의원이 28일 국민의힘 잔류와 4월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특히 개혁신당을 이끄는 이준석 대표가 구애를 했지만 그의 손을 뿌리친 모양새다.

 

뉴시스에 따르면 유 전 의원이 윤 대통령의 반성과 당정관계 변화 등 당 쇄신 요구가 수용되지 않았음에도 신당 창당 또는 제3지대 합류가 아닌 당 잔류를 택한 것은 자신의 정치적 행보에 발목을 잡아온 배신자 프레임에 대한 부담, 제3지대 노선에 대한 인식차와 친유승민계의 분화에 따른 물리적 한계 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유 전 의원은 28일 페이스북에 "저의 거취에 대해 말씀드린다. 당을 지키겠다. 공천 신청은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어 "오랜 시간 인내해왔고 앞으로도 인내할 것"이라며 "우리 정치가 더 나은 세상을 위해 복무하도록 남은 인생을 바치겠다"고 밝혔다.

 

유 전 의원은 '합리적인 보수'로 중도층에 소구력을 가진 인물로 꼽힌다. '반윤석열 반이재명'을 넘어 '정치개혁' 의제를 띄우려는 이준석 대표의 개혁신당은 물론 이낙연 인재영입위원장의 새로운미래 등 제3지대로부터 공개 구애를 받아왔다.

 

국민의힘 안팎에서는 윤 대통령과 친윤계와 대립각을 세워온 유 전 의원이 4·10 총선에서 공천을 받을 가능성이 낮은 만큼 신당 창당 또는 제3지대행을 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친윤계인 이용 의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유 전 의원 공천에 대해 "모르겠다"고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 바 있다. 유 전 의원은 지난 경기지사 경선과 전당대회에서도 '배신자' 프레임을 앞세운 친윤계의 집중적인 견제에 직면해야 했다. 박근혜 정부 시절 유 전 의원은 원내대표를 맡아 차기 지도자로 급부상했으나 박근혜 정부와 정책적 마찰로 원내대표에 물러난 이후 탈당해 신당을 만드는 등 박근혜 정부와 대립각을 세웠다. 이로 인해 대구-경북에서는 유 전 의원을 배신자로 몰았다. 배신자 프레임은 유 전 의원의 정치행보에 발목을 잡는 아킬레스건이 됐다.

 

유 전 의원은 이번 여당 잔류를 통해 지긋지긋한 배신자 프레임을 탈피해 보수 정당의 본류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다진 것으로 보인다. 더 이상 탈당 등을 통해 다른 정치세력이 배신자 프레임을 활용하지 못하게 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합리적 보수 정치인으로서 차기 행보를 이어가겠다는 행보로 관측된다.

 

유 전 의원은 경기지사 경선 패배 이후 공개 활동을 자제했지만 윤 대통령과 친윤계를 향한 비판은 멈추지 않았다. 지난해 10월 인요한 전 혁신위원장과 만나 윤 대통령의 반성(당무 개입 중단 및 민생 전념), 수직적 당정 관계 청산, 김기현 대표 체제 교체라는 3가지 변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그는 당시 라디오 인터뷰에서 "12월께 나는 떠날 것인가 남을 것인가 (선택할 것)"이라며 "떠나는 것, 신당을 한다는 것은 늘 열려 있는 선택지이고 최후의 수단"이라고 말했다. 이는 당내 변화가 없으면 탈당과 신당 창당을 고려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윤 대통령과 친윤계와 각을 세우다 탈당 후 신당 창당을 택한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그간 유 전 의원을 영입 후보로 거론해왔다. 이 대표는 유 전 의원을 따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새누리당(현 국민의힘)을 탈당해 바른정당 창당에 동참하는 등 한때 '유승민계'로 꼽혔다.

 

그러나 유 전 의원과 이 대표 양측에 따르면 유 전 의원과 이 대표는 정치적 행보를 함께 했지만 정치 노선을 두고 인식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 전 의원이 당 잔류를 공개 선언하기 전에도 두 사람의 결합 가능성에 회의적인 시선이 존재했다.

 

'이재명 사당화'를 비판하며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해 새로운 미래를 창당한 이낙연 인재영입위원장도 유 전 의원과 회동을 타진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불필요한 오해 우려'를 이유로 양측간 만남은 성사되지 않았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2차례 창당 실패 경험과 과거와 달리 창당에 동참할 세력이 많지 않다는 한계도 잔류 선언 이유로 꼽힌다.

 

유 전 의원은 2017년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당시 새누리당을 탈당해 바른정당을 창당했고 2020년 1월 21대 총선을 앞두고 새로운보수당을 창당했다. 개혁보수를 기치로 내건 두 신당은 보수진영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모두 다른 정당에 흡수 통합되는 형태로 끝났다.

 

바른정당 창당시에는 30명에 달하는 의원들이 함께 창당에 나섰고, 지난 대선 전까지만 해도 10여명의 의원들이 유승민계로 분류됐지만 현재는 의원들이 대거 이탈하면서 계파는 사실상 붕괴했다. 유 전 의원 개인도 '배신자'라는 공세에 밀려 행동 반경이 극도로 제약된 상태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