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의 HMM(구 현대상선) 새 주인 찾기가 무위로 돌아갔다. 채권단인 KDB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해진공)는 우선협상대상자인 하림그룹 측과 HMM 경영권 인수를 두고 협상했으나 최종 결렬됐다. 해진공의 경영권 개입과 지분 매각 제한 여부를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당장 하림 측은 해진공을 겨냥해 “원래 팔 생각이 없었다”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해운 업황이 악화하는 가운데 단기간 내 재매각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적기 매각에 실패한 HMM이 급속도로 진행되는 글로벌 해운동맹의 재편에 따른 파도를 넘을 수 있을지 우려된다는 게 업계의 전언이다.
채권단 측은 7일 “산은·해진공과 우선협상대상자(하림그룹)는 7주에 걸쳐 성실히 협상에 임했으나, 일부 사항 이견으로 최종 결렬됐다”고 밝혔다.
협상은 지난달 23일이 마감시한이었으나 전날까지 한 차례 연장된 바 있다. 하림 측이 요구 사항을 상당 부분 철회하면서 급물살을 탄 것으로 알려졌으나 경영권 등을 둘러싼 이견으로 무산됐다.
하림그룹은 이날 오전 공식 입장을 통해 “실질적인 경영권을 담보해 주지 않고 최대주주 지위만 갖도록 하는 거래는 어떤 민간 기업도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고 결렬의 책임을 채권단 측에 돌렸다.
그룹 고위 관계자는 “매각하는 측에 (경영권 참여) 기간을 한정해 달라고 했으나 받아들이지 않았고 대주주와 주주 간 계약을 통해 10% 지분을 갖고서 영구적으로 하려 한 것”이라며 “정부 방침이 민영화다 보니 시늉만 하면서 방해하는 식”이라고 비난했다.
해진공은 HMM이 공적 지원을 받아 경영 정상화에 성공했고, 유일한 국적 컨테이너 선사인 만큼 매각 후에도 경영 개입 필요성을 굽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더불어 하림은 주주 간 계약의 유효기간을 5년으로 제한하고, 컨소시엄에 함께 참여한 JKL파트너스만이라도 지분 매각 제한의 예외로 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해진공 측은 HMM의 현금성 자산이 해운업 외에 유용돼서는 안 된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전언이다. 앞서 하림이 인수 자금 조달 계획을 내놨을 때도 시장에서 제기된 부족 우려를 해소하지 못해 HMM이 보유한 현금성 자산을 활용할 것이라는 의혹이 나왔다.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은 2016년 유동성 위기로 채권단 관리 체제에 놓였다. 이후 적극적인 구조조정과 코로나19 시기 해운업 호황에 힘입어 2020년 흑자 전환했다. 지난해 7월 채권단이 7년여 만에 매각에 나선 배경이다. 해운사 팬오션을 소유한 하림그룹은 지난해 12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채권단 측과 매각 조건을 두고 협상해 왔다.
경영권 개입과 지분 매각 제한 등 협상 결렬의 원인이 된 매각 조건이 당장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만큼 단기간 내 HMM 재매각은 어렵다는 게 일반적인 시각이다. 더구나 해운업황도 다시 불황으로 접어들고 있다. 이번 협상 결렬로 구조조정의 적기를 놓친 HMM은 글로벌 리스크에 대응할 여력이 작아졌다는 우려도 고개를 든다. HMM이 소속된 글로벌 해운동맹인 ‘디얼라이언스’는 세계 5위의 해운사인 하팍로이드가 탈퇴하면서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동맹 재편 과정에서 운임이 하락하는 ‘치킨게임’이 벌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앞서 2010년대 글로벌 해운동맹 재편 과정에서 치킨게임이 발생해 국내 1위 한진해운은 2017년 파산에 이르렀다.
한 해운업계 관계자는 “최근 글로벌 해운업계에 리스크가 커지면서 HMM이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며 “행여나 산은이 급하게 매각하다가 글로벌 경쟁력마저 잃을 수 있는 아슬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HMM은 그간 글로벌 해운업계에 불어닥친 제2의 치킨게임에 대비하기 위해 지난 연말 기준 선복량을 78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확대한 바 있다. 또한 올해 중으로 100만TEU를 달성하면서 세계 8위를 굳힐 계획이다.
한편 HMM 매각 결렬 소식에 관련주는 요동쳤다. 하림은 전날 대비 16.18% 급락한 3135원으로 마감했다. 반면 하림그룹의 계열사로 HMM 인수 주체로 나선 팬오션은 21.09% 상승한 4335원으로 장을 마쳤다. HMM 인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2조∼3조원의 대규모 유상증자 우려가 해소된 영향으로 상승세를 보였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