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을 20일 남겨 놓고 국민의힘과 윤석열정부는 운명 공동체입니다.”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달았던 당·정 갈등이 가까스로 봉합되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20일 이같이 말하며 당·정 갈등의 파국으로 향하던 기관차를 멈춰 세웠다. 다만 비례대표 순번을 둘러싼 당내 내홍이 해소되지 못해 당정 갈등도 향후 재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당·정 갈등 우선 수습 모드로
한 위원장은 이날 경기 안양에서 열린 현장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차이를 언급하며 “황상무 수석이 오늘 사퇴했고, 이종섭 주호주대사가 곧 귀국한다”며 4·10 총선을 앞두고 민심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여당의 책임 있는 모습을 강조하는 데 주력했다. 지난 17일 한 위원장이 황 수석의 자진 사퇴와 이 대사의 조기 귀국을 공개 촉구한 지 사흘 만에 사태가 수습 국면에 접어든 것이다. 한 위원장은 이 대사의 사퇴까지 필요한지를 묻는 말에 “저희는 민심에 순응하려고 노력하는 정당”이라며 “이런 상황들이 (민주당과의 차이를) 명확하게 보여 주는 것”이라고 답했다. 한 위원장의 발언에 힘을 실었던 안철수·나경원 공동선대위원장은 환영 입장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번 조치에는 대통령실의 ‘공멸 위기감’이 작용했다. 이 대사 임명과 부임에 법적·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여전히 보고 있지만 논리적으로 대응하기에 ‘총선 코앞’이라는 시점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내부에선 한참 전부터 “두 사안의 실체를 떠나 국민 여론에 따를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이 팽배했으나 윤 대통령의 ‘원칙 대응’ 의지가 강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여론 동향과 참모들의 건의를 고려해 이날 한 발 물러서는 결정을 내렸다.
◆우선 봉합, 총선 후 재연 우려
윤 대통령과 한 위원장은 총선까지 ‘원팀’ 기조를 이어 갈 예정이지만 그간 쌓인 갈등의 골이 만만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통령실은 윤석열정부의 주요 정책에 대한 당의 파트너십이 약한 점에 대한 불만이 있다. 현 정부의 개혁 첫걸음이자 도전이 된 의료개혁만 해도 당이 의료계와 소통에 나서는 등 집권 여당으로서 문제 해결에 팔을 걷어붙이기보다는 대통령의 과제로 방관하는 측면이 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 혼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는 볼멘소리가 내부에서 나온다. 반면 용산에서 촉발한 리스크가 불거질 때면 야권의 저격 공세에 휘말려 여당이 대통령실로 곧장 화살을 돌리고 있다는 섭섭함이 쌓여 있다. 특히 이 대사 문제처럼 공수처가 소환 통보를 하지 않고 출국금지만 연장하다가 이 대사가 부임하자 문제를 키운 정략적 움직임이 있는데도, 실체 규명보다는 대통령실을 공격하는 모습을 보인 것에 대한 불만이 있다. 여권 내부의 이러한 갈등은 총선 이후 비대위 체제가 종료되고 새 당대표를 뽑는 전당대회 국면에서 본격 표출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친윤 이철규, 비례대표 갈등 폭발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순번을 둘러싼 문제는 일부 후보 조정으로 봉합되는 듯했으나 이날 오후 이철규 의원이 기자회견을 자처해 그간의 갈등 과정을 폭로하면서 향배를 가늠하기 어려워졌다.
비례대표 순번에 대해 공개 이의 제기를 한 이 의원은 “밀실서 권한 없이 청탁한 것이 아니라 당연히 (인재영입위원장인) 제가 해야 할 책무 중 하나”라며 “그 과정에서 비대위원장과 의견이 맞지 않는 것도 있었다. 그렇지만 제가 고집부려서 갈등이 유발된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그는 비례대표 결정 과정에서 인재영입위원장인 자신이 정당한 절차에 따라 문제 제기를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비례대표에 호남·당직자 등 당헌·당규에 따른 인사가 당선권에 배치되지 못한 것을 알고 윤재옥 원내대표를 통해 문제 제기를 했고, 이후 한 위원장과도 한 차례 통화를 하며 이 같은 문제 제기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그런데 일부 언론에서 “당연히 건의하고 요청한 사항을 사천 요구라고 했다. 그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니 제가 몽니를 부린다는 식으로 왜곡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