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지역대학의 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 유치’라는 카드를 빼들었다.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을 추진 중인 부산시는 2028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3만명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부산형 유학생 유치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Study Busan 30K Project’를 발표했다.

시는 2028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3만명 유치 △유학생의 이공계 비율 30% 확대 △취업·구직 비자 전환율 40% 확대 등 3가지 목표를 정하고, 유학생 유치 전 단계·유치단계·인재 양성 단계·인재 활용 단계 등 단계별 전략을 추진한다.
먼저 유치 전 단계는 지역 맞춤형 유치 전략 수립과 방향 설정으로 유학 저변을 확대하고, 중앙정부-지역대학-기업 등으로 구성된 ‘유학생 유치 네트워크’를 운영한다. 새로운 유학 수요 창출을 위해 대학의 유학생 유치 수요를 파악하고, 해외무역사무소 및 한국교육원 등과 연계해 유치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유치단계에서는 지역 수요 맞춤형 우수 인재 유치 및 유학생 조기 적응을 지원한다. 부산 브랜드와 연계한 유학설명회 및 대학·기업 설명회를 열고, 부산시 지원 사업을 소개할 예정이다.
인재 양성 및 인재 활용 단계는 각각 유학생 학업 및 정주·생활 적응 지원과 유학생 취업역량 강화, 일자리 미스매치를 해결한다. 유학생을 대상으로 노무·법률·부동산 등 8개 분야 전문 상담 및 생활 상담을 지원하고, 지역사회 조기 정착 및 적응력 제고를 위해 유학생지원센터를 운영한다.
이 밖에 이공계 외국인 유학생의 정주를 위해 ‘지역 맞춤형 특화 비자제도’ 신설을 중앙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유학생이 구직 비자(D-10)로 동일 기업에서 인턴십을 할 경우, 현행 6개월보다 더 오래 일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특화 비자제도를 부산 전역으로 확대하고, 대학 내 창업하는 경우 대학 보증으로 투자금이 면제될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학령인구 감소로 인한 대학의 위기가 곧 지역 위기로 연결된다”며 “인구감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대학-기업이 공동으로 유학생을 유치해 지역경제 생태계 미래를 바꿔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