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기업 44%, 번 돈으로 이자도 못 내”… 코로나 때보다 악화

한은 금융안정보고서

2023년 4분기 기업 신용 2780조
명목 GDP 대비 124.3% 달해
한해 총생산으로도 빚 못 갚아
30대 대기업 부채총액 449조
이자만 7.4조… 2023년보다 61%↑

건설사 10곳 중 4곳 ‘취약기업’
한은 “PF 우발채무 증가 우려”

고금리 속 실적 악화 여파로 기업 10곳 중 4곳가량은 번 돈으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대기업 역시 지난해 부채와 이자비용이 크게 증가한 가운데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출 연체율도 높아졌다.

사진=뉴스1

28일 한국은행의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업신용(빚)은 2780조1000억원으로 3분기(2734조7000억원) 대비 1.7% 늘었다. 전기 대비 증가율은 작년 2분기 1.1%까지 떨어졌다가 3분기 1.2%에 이어 또다시 상승했다.

 

기업신용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은 124.3%로, 장기 추세인 119.2%에 비해 5%포인트가량 높다. 한국에서 한 해 동안 생산되는 모든 부가가치를 더해도 기업의 빚을 갚을 수 없다는 얘기다. GDP 대비 기업신용 비율은 2019년 3분기 말 100.5%로 100%를 넘어선 뒤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다.

 

고금리가 지속되는 데다 영업실적까지 부진해 기업들이 장·단기 차입금을 늘린 결과인데, 30대 기업도 지난해 부채와 이자비용 모두 급증했다.

재벌닷컴이 매출 10조원 이상 30대 대기업의 2023회계연도 감사보고서(별도 기준)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의 부채 총액은 449조1890억원으로 전년(413조2900억원) 대비 35조8990억원(8.7%) 증가했다. 특히 고금리 여파로 이자비용 총액은 전년(4조6140억원)보다 61.3%(2조8290억원)나 늘어난 7조444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부채를 늘린 기업은 제때 갚지 못해 연체율까지 오르고 있다. 기업신용 연체율은 지난해 4분기 1.65%로, 2022년 4분기(0.95%)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중소기업은 같은 기간 1.12%에서 1.93%로 뛰어올랐다.

 

나아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의 ‘취약기업’ 비중은 지난해 1분기 46.1%, 2분기 44.8%, 3분기 44.4%에 달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덮친 2020년(40.3%)보다 높은 수치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금융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부채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이 값이 1 미만이면 영업이익으로 빌린 돈조차 갚지 못한다는 뜻으로, 그만큼 재무구조가 악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30대 대기업의 이자보상배율은 2022년 평균 14.4배에서 지난해 2.0배로 곤두박질쳤다.

특히 부동산 경기 부진 여파로 건설사 10곳 중 4곳이 취약기업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건설사 66곳(지난 3분기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상장기업)의 중위 재무비율을 분석한 결과 39.4%가 이자보상배율 1.0을 밑돌았다.

 

현재 건설사의 재무제표상 반영돼 있지 않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무보증이 작년 3분기 기준 28조원에 이르고 있다는 점도 심각성을 더한다. 한은은 “건설사의 PF 채무보증 등 우발부채도 증가하고 있다”며 “PF 사업장 부실 등으로 우발부채가 현실화할 경우 자기자본에 비해 보증 규모가 큰 일부 건설사들의 부채비율이 상승하면서 재무 건전성이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부동산 PF 사업장의 부실 확산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봤다.

 

이종렬 부총재보는 “PF 연체율이 과거 위기 때보다 낮고, 금융기관도 충분한 유동성과 손실 흡수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정부도 PF 시장 안정을 위해 다양한 정책수단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수미 선임기자 leolo@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