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날씨는 화창해졌는데 왜 우울하지”…유독 ‘봄 탄다’면 이 질환 의심 [건강+]

봄마다 우울한 기분 지속한다면
계절성우울증 의심해 볼 수 있어

봄철 이유 없이 무기력해지고 우울해지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보통 ‘봄을 탄다’며 가볍게 넘기기 쉽지만,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면 ‘계절성 우울증’이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1일 의료계에 따르면 스프링 피크(Spring Peak)란 1년 중 봄철 자살률이 가장 높은 현상으로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난다. 국가통계포털(KOSIS)에 등록된 자료를 보면 최근 3년간 매해 자살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2021년은 3월, 2022년은 4월, 2023년은 5월이었다. 스프링 피크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 없으나, 봄철 우울증과 연관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봄철 우울증은 심리·사회적 요인과 관련 있다. 입학, 졸업, 취업 등 변화가 많은 시기에 적응을 못 하거나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며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는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만약 2년 이상 봄철마다 우울한 기분이 2주 이상 지속한다면 계절성 우울증을 의심해 볼 수 있어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우울증이 생기면 침울한 기분이 비정상적으로 오랫동안 회복되지 않게 된다. 침울한 기분은 쓸쓸함, 슬픔, 불안, 절망, 허무, 답답함, 초조함 등의 다양한 감정으로 표현된다.

 

이런 증상이 계속될 경우 직업적·사회적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누구나 우울할 수 있다는 통념 때문에 방치되기 쉬우나 조기 진단과 재발 방지 치료가 핵심인 질환이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되면 망설이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우울증의 가장 적절한 치료법은 생활 습관의 개선, 약물치료와 함께 심리치료를 병행하는 것이다. 약물치료는 환자가 보이는 증상, 약물의 부작용, 과거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 처방 비용 등을 고려해 적합한 약제를 처방하게 된다. 항우울제를 복용하더라도 치료 효과는 투여 직후가 아닌 약 2주 뒤 나타나기 때문에 쉽게 포기하거나 실망하지 않고 꾸준히 투약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약물적 치료로는 의사와 환자가 대화를 나누는 면담 치료와 전기경련요법, 두개경유자기자극술, 심부뇌자극술, 미주신경자극술, 광치료 등이 있다. 전기적 치료는 유용성과 안전성이 확립돼 있지만 아무래도 약물치료보다는 낯설고 두렵게 느껴지기 때문에 환자와 보호자들의 거부감이 있는 편이다. 따라서 처음부터 사용하기보다는 약물치료만으로 충분한 호전을 보이지 않을 때 고려하게 된다.

 

한규만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우울증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신뢰할 수 있는 가족이나 가까운 지인 간의 대화 등 상호작용이 중요하다”며 “규칙적인 생활 습관과 가벼운 운동을 하는 것이 좋은데, 여러 사람과 어울리며 배우는 수영을 가장 추천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울증은 감기와 같은 병이라 누구나 걸릴 수 있다"면서 "기분이 평소와 같지 않다면 언제든 편하게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고 했다. 또 “특히 봄에는 시기적 특성상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며 비관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보다 자신의 현재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