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난항 겪는 공군 조기경보기 추가 도입… 세번째 입찰까지 간 이유는

공군의 공중감시정찰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중인 항공통제기 2차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두 차례에 걸친 입찰이 무위로 돌아가면서 방위사업청은 3차 입찰공고를 진행할 예정이다. 

 

방위사업청 최경호 대변인은 1일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항공통제기 2차 사업은 지난주에 제안서 평가를 실시했다”며 “일부 업체에서 필수조건 미충족이 확인됐다”라고 밝혔다.

공군 E-737 공중조기경보기. 세계일보 자료사진

방위사업청은 지난달 22일 1차 입찰공고에 따른 제안서 접수를 마감했다. 미국 보잉(E-7A)과 L3해리스(G6500), 스웨덴 사브(글로벌아이)가 참여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보잉은 제안서의 번역 문제로, 사브는 시험평가 등의 문제로 탈락했다. 이후 방위사업청은 2차 입찰공고를 내고 제안서를 접수했으나, 이번에도 L3 해리스만 통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 대변인은 “1차 재공고 내용은 보완이 됐는데, 이번에 또 다시 평가를 하는 과정에서 미비한 사항들이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조건이 미충족됐느냐’는 질문엔  “제안서 평가 중이기 때문에 세부적인 답변은 제한된다”고 답했다.

 

이 사업엔 미국(이하 기종 E-7A)과 L3해리스(G6500), 스웨덴의 사브(글로벌아이) 등 3개 업체가 도전장을 냈으며, 1·2차 제안서 평가 과정에서 L3해리스만 살아남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3차 입찰공고 이후에도 경쟁 입찰이 성립되지 않으면, L3해리스와의 수의계약 또는 사업 재추진 가능성도 제기된다.

경기 정부과천청사 방위사업청 모습. 뉴시스

사업 재추진이 이뤄질 경우 공군의 조기경보통제기 전력화 일정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대북 감시 작전으로 인해 조기경보통제기 작전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공군의 감시정찰능력에 공백이 생길 우려가 제기된다.

 

이에 따라 방위사업청이 더 적극적으로 업체측과 협상에 나서면서 리스크를 제거하는 등의 정책적 행보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군은 오는 2031년까지 총 3조900억원을 들여 공군 조기경보통제기 4대를 국외에서 도입하는 항공통제기 2차 사업을 진행 중이다.

 

고성능 레이더를 탑재한 항공통제기는 원거리에서 항공기·미사일 동향을 포착하고, 아군 전투기를 지휘·통제한다. 공군은 E-737 4대를 운용 중이다.

 

E-7A는 노스롭그루먼 다목적 전자주사배열(MESA) 레이더를 탑재했으며 공중급유 없이 6482㎞를 비행할 수 있다.

 

글로벌아이는 캐나다 봄바디어 비즈니스 제트기 G6500에 에리아이 발전형 레이더를 탑재했다. 아랍에미리트(UAE)와 스웨덴이 도입했다. 

 

L3해리스는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IAI)의 레이더를 탑재해 G6500을 개조할 계획이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