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아버지 나 얼굴 알아지쿠과”… AI 아버지 상봉 영상에 눈물바다

4·3추념식서 5살에 부모 잃은 김옥자 할머니 사연 소개
한 총리 “추가 진상조사 빈틈없이 마무리”

“아버지 나 얼굴 알아지쿠과. 나는 아버지 얼굴 몰라. 아버지가 나 불러도 모를거고. 나도 아버지 부르고정 해도 못 부르고….”

 

3일 제주4·3평화공원에서 봉행된 76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서는 4·3 당시 5살 어린 나이에 부모를 잃어 아버지, 어머니의 얼굴조차 기억하지 못한다는 김옥자(81) 할머니의 가슴아픈 사연과 인공지능(AI) 기술로 복원한 부친 영상에 추모객들이 눈시울을 붉혔다.

최첨단 AI 기술로 복원한 김옥자 할머니 아버지 사진.

내레이션을 맡은 제주 출신 배우 고두심은 “옥자 할머니의 70여년은 흐르지 않는 정지된 시간이었다. 4·3의 피바람은 이렇게 긴 세월이 무색하게도 여전히 5살 옥자인 팔순 노인을 남겨놨다”며 소개했다.

 

4·3 당시 소개령이 내려지자 김 할머니의 가족들은 제주 화북리 곤을동 마을로 거처를 옮겼다. 며칠 뒤 김 할머니의 아버지(김병주·당시 28세)는 외양간에 두고 온 소를 살피러 다녀오겠다는 말을 남기고 나선 뒤 토벌대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고 한다.

 

김 할머니의 어머니도 이듬해 봄에 곤을동 인근 화북천에서 숨진 채 발견됐고, 언니와 동생마저 굶주림과 병마를 이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 그렇게 김 할머니만 남겨졌다고 한다.

제76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이 3일 제주4·3평화공원 위령제단 일원에서 유족 등 1만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고 있다. 제주도 제공

무대에 오른 김 할머니의 손녀 한은빈(17)양은 “할머니는 새해 달력을 걸 때면 ‘음력 동짓달 스무날 찾아보라’라고 하신다. 그날이 바로 가매기 몰른 식게, 즉 죽은 이의 영혼을 인도하는 까마귀조차 모르게 지내는 제삿날이라는데 바로 할머니의 아버지, 제 증조할아버지의 제삿날”이라고 전했다.

 

한 양은 “할머니가 5년 전 곤을동 잃어버린 마을 터를 다시 찾아가셨다. 말 한마디 없이 한참을 둘러보고 돌아서며 소나무 앞에서 ‘저 소낭(소나무)은 그 때도 딱 저만큼 커났져(컸었다)’라고 하셨다”며 “저희 할머니 시간은 여전히 5살에 머무르고 있지만 그리움에 사무친 아버지 얼굴은 그 시간 속에서도 찾을 수 없다는 말 아닐까요”라고 했다.

추념사하는 한덕수 국무총리. 제주도 제공

이어 유족 증언 등을 바탕으로 최첨단 AI 기술로 김 할머니의 아버지 생전 모습을 복원하는 과정과, 복원된 아버지 사진을 갖고 4·3평화공원을 찾은 김 할머니의 영상이 상영됐다. 아버지 생전 모습을 사진과 영상으로 복원해 이날 딸과 다시 만나는 장면이 연출됐다.

 

김 할머니는 아버지 이름이 적힌 각명비 앞에서 “아버지 이 사진 아버지랑 닮아수과(닮았나요). 이거 나랑 닮았다 고라줍서(말씀 해주세요)”라며 눈물 흘렸다.

할머니 사연 전하는 한은빈양. 제주도 제공

이에 딥페이크 기술로 합성된 김 할머니의 아버지가 “옥자야 아버지여. 하영(많이) 기다렸지. 이리 오라 우리 똘(딸) 얼마나 컸는지 아버지가 한번 안아보게”라며 두 팔을 벌려 다가오는 모습이 스크린에 떠올랐다.

 

행사장의 김 할머니는 손녀의 품에서 눈물을 흘리며 영상을 지켜봤고, 행사장을 찾은 유족 등 참석자들도 아픔을 함께하며 눈물지었다.

3일 제주시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오영훈 제주지사가 유족의 사연을 듣던 중 눈물을 훔치고 있다. 제주도 제공

슬픔에 잠긴 추념식장에서 뒤이어 가수 인순이가 ‘아버지’라는 곡을 부르며 유족의 상처를 어루만졌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추념사에서 “4·3사건 희생자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의 아픔을 위로하는 것은 국가의 기본적인 책무”라며 “정부는 4·3 사건의 상처를 보듬고 치유해 화합과 통합의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3일 제76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정당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임성준기자

이어 “2025년까지 추가 진상조사를 빈틈없이 마무리해 미진했던 부분도 한층 더 보완해 나가겠다”며 “생존 희생자·유가족의 온전한 회복을 위해 트라우마치유센터 설립·운영에 더욱 힘쓰고 국제평화문화센터 건립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에도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제주=임성준 기자 jun2580@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