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北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 성공”… 합참 “과장”

북측 ‘화성포-16나’형 시험 발표
“1000㎞ 날아 동해상 탄착” 주장
합참 “한·미·일 분석 결과 600㎞”

북한이 3일 신형 중장거리 고체연료 극초음속미사일(IRBM)의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그러면서 사거리별 모든 미사일을 고체연료화하고 핵탄두를 실어 변칙 비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의 주장은 과장됐다며 실전배치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반박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3일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새로 개발한 극초음속활공비행전투부(탄두)를 장착한 신형 중장거리 고체탄도미사일 '화성포-16나'형의 첫 시험발사를 지난 2일 현지지도했다고 보도했다. 평양=노동신문·뉴스1

조선중앙통신은 전날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신형 중장거리 고체 탄도미사일인 ‘화성포-16나’형 시험이었다고 이날 밝혔다. 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새로 개발한 극초음속 활공비행전투부를 장착한 새형의 중장거리 고체 탄도미사일 ‘화성포-16나’형의 첫 시험발사를 현지지도했다”고 전했다. 이어 “극초음속 활공비행전투부(탄두)의 활공도약형 비행궤도 특성과 측면 기동 능력을 확증했다”며 “1차 정점고도 101.1㎞, 2차 정점고도 72.3㎞를 찍으며 비행해 사거리 1000㎞로 날아 조선 동해상 수역에 탄착했다”고 주장했다. 이는 미 인도태평양사령부가 있는 미국령 괌을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반도 유사시 대규모 증원 전력 차단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북한이 밝힌 비행거리는 합참이 밝힌 비행거리 600㎞와 차이가 있다. 불규칙하게 기동하는 극초음속미사일을 탐지할 수 없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극초음속 활강 비행한 마지막 400㎞를 탐지 접촉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에는 탄두부에 장착된 극초음속 활공체(HGV)가 그동안 선보인 원뿔형이 아닌 날개가 달린 비행체 형태의 글라이더형이다. 글라이더형은 원뿔형에 비해 제어가 어렵고 요격을 피하는 활공비행 능력이 더 뛰어나다. 또 액체연료형 엔진보다 은폐와 신속 발사가 용이한 고체연료형 엔진이 사용됐다.

 

북한은 “우리는 각이한 사거리의 모든 전술, 작전, 전략급 미사일들의 고체연료화, 탄두조종화, 핵무기화를 완전무결하게 실현했다”고 주장했다.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대륙간탄도미사일 등 모든 미사일에 고체연료 엔진을 장착하고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게 됐으며, 이 핵탄두가 변칙비행하는 능력까지 갖췄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경이적인 성과이자 특대사변”이라고 말했다.

현지지도하는 김정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 두 번째)이 지난 2일 새로 개발한 극초음속활공비행전투부(탄두)를 장착한 신형 중장거리 고체탄도 미사일 ‘화성포-16나’형 첫 시험발사를 현지지도했다고 조선중앙TV가 3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합참은 북한 주장에 즉각 반박했다. 합참은 “북한이 주장하는 비행거리는 과장된 것으로 한·미·일이 분석한 결과는 600여㎞”라며 “2단 엔진 점화를 의도적으로 지연시키고, 2단 엔진연소 중 비행방향을 바꿨다고 하는 것도 과장”이라고 했다. 이어 “고체연료 극초음속미사일과 ICBM급은 탄두부 열방호·재진입 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해 전력화에 상당한 기간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


김예진·박수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