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쿠팡, 와우 멤버십 月요금 ‘4990원→7890원’…고객 그래도 이득인 이유 [일상톡톡 플러스]

사측 “멤버십 회원에 ‘구독료 수입 3배 이상’ 돌려 드릴 것”
연합뉴스 자료사진

쿠팡이 와우 멤버십 월 요금을 종전 4990원에서 7890원으로 변경한 배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최근 극초저가 제품을 무기로 국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는 중국 알리 익스프레스와 테무의 공세에 맞춰 멤버십 요금을 올리는 ‘승부수’를 띄웠기 때문.

 

유통업계에선 “10년간 누적적자 6조원 이상을 내며 소비자 혜택을 끊임없이 확대해온 쿠팡의 불가피한 선택”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다.

 

쿠팡이 지난해 첫 흑자 전환을 했지만 영업이익률이 1.9%에 불과할 정도로 수익성이 과제로 뽑히는데다 한해 4조원 이상을 와우 회원의 무료 배송과 상품할인 등에 투자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알리·테무에 맞서 투자 확대를 위한 여력 확보 차원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새로운 月요금 7890원, 일반 OTT 반값…“매년 4조원 이상 와우고객에 돌려주겠다”

 

1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쿠팡은 이날 와우 멤버십 요금을 종전 4990원에서 7890원으로 올린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2021년 말 멤버십 요금을 4990원으로 올린 지 약 2년 4개월 만.

 

월 요금 7890원은 13일부터 멤버십에 신규 가입하는 회원에 적용, 기존에 월 요금 4990원을 내던 회원들은 오는 8월부터 새로운 요금으로 바뀌었다.

 

와우 멤버십은 무료 로켓과 당일배송, 신선식품 새벽배송(1만5000원 이상 구매), 무료 배달·직구·반품은 물론 쿠팡플레이 시청이 모두 가능한 서비스로,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혜택이 10가지 이상이다.

 

쿠팡이 가격을 올린 이유에 대해 업계에선 요금에 비해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혜택이 워낙 방대해졌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쿠팡은 지난해만 무료 로켓배송과 상품 할인, 쿠팡플레이 무료시청 등에만 4조원의 절약 혜택을 제공했고, 앞으로도 그 이상의 절약혜택을 매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와우 멤버십 회원(1400만명) 월 요금(4990원)으로 본 연간 구독료 총합은 8383억원 수준으로, 앞으로 7890원으로 오른 연 구독료 총합 추정치는 1조3255억원 정도다.

 

멤버십 회원에 대한 연간 투자(4조원 이상) 규모의 33% 수준에 불과해 요금이 올라도 고객에 대한 투자 규모가 워낙 크다는 뜻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와우 멤버십 회비로 쿠팡이 돈을 번다고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다른 유통업체 등에서 단건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모두 모아 회비의 3~4배 이상 수준으로 혜택을 와우 회원에 돌려주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 “와우 멤버십 회비로 쿠팡이 돈 번다고 보긴 어렵다”

 

넷플릭스(1만3500원~1만7000원), 티빙(9500원~1만7000원), 디즈니플러스(9900원~1만3900원) 등과 비교해 쿠팡의 멤버십 월 요금은 최대 반값 수준이다. 다른 일반 쇼핑 멤버십은 적립이나 할인 혜택에 집중돼 있고 새벽배송이나 직구, 콘텐츠 혜택이 없거나 부족하다.

 

상당수 이용자들은 별도의 OTT에 돈을 내고 가입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콘텐츠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국민 1인당 평균 월 1만2000원을 내고 OTT를 사용중이다.

 

각종 혜택으로 무장한 와우 멤버십을 이용하는 회원들의 절약 규모는 매우 큰 편이다. 수백만 회원들이 연간 100만원 정도의 할인혜택을 받고 있고, 한 회원은 수년간 3000만원의 절약을 본 사례도 있다고 쿠팡은 밝혔다.

 

◆비(非)회원과 비교, 연간 97만원 가량 절약 가능

 

무료 로켓배송(건당 배송비 3000원), 무료반품(건당 5000원), 무료 직구(건당 2500원) 등을 사용하면서 고물가 속에 각종 비용을 줄이는 할인폭이 매우 크다는 뜻이다.

 

쿠팡이 와우 멤버십을 2018년 런칭한 이후 아직도 쿠팡을 제외한 단일 쇼핑 멤버십에서 익일·당일·새벽배송을 모두 무료하는 경우는 없다. 쿠팡이 국내 유통업계에서 전국 30개 지역에 100여개 이상 물류센터를 운영하며 전국에 익일과 새벽배송을 가장 많이 확대해왔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쿠팡 제공

쿠팡은 이날 무료 배송·배달·직구·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반품 혜택을 모두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소비자는 비회원과 비교해 연간 97만원 가량의 절약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현금 100조’ 중국 알리 비교, 쿠팡 수익성 낮지만…“물류 투자 강화로 대응”

 

쿠팡의 수익성이 낮은 상황에서 중국 이커머스에 대응해 투자는 늘려야 하는 절박함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최근 중국 알리 익스프레스의 국내 1조5000억원 투자에 맞서 쿠팡이 앞으로 3년간 3조원 이상 투자해 전국 5000만 인구에게 무료 로켓배송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을 때에도 업계에선 “쿠팡의 절박함이 표출됐다”는 반응이 나왔다. 이번 와우 멤버십 인상도 비슷한 이유라는 업계 분석이다.

 

지난해 와우 회원에 대한 연간 투자규모가 4조원에 이른 상황에서 쿠팡의 수익성은 현재 업계에서 꼴찌 수준이다.

 

쿠팡의 지난해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은 1.9%로, 신세계·이마트(10%), 현대백화점(7.2%), 롯데쇼핑(3.5%), GS25(3.5%) 등 지난해 주요 업체들을 영업이익률을 크게 하회하고 있다.

 

배달앱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 형제들’ 지난해 영업이익은 6998억원(20.5%)으로 쿠팡의 6174억원을 넘어설 정도다. 쿠팡이 지난 10년간 6조원 이상의 누적 적자를 내다 지난해 처음으로 흑자전환했지만 수익성이 낮다는 것.

 

◆“中 공세 맞춰 기초체력 확보 위해 요금 변경 불가피했을 것”

 

이처럼 국내 출혈경쟁이 심한 상황에서 중국 알리 익스프레스와 테무의 진격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알리 익스프레스의 지난 3월 국내 이용자 수는 887만명으로 2022년 3월 218만명 대비 4배 이상 늘었고, 테무의 이용자 수도 829만명으로 전달보다 42.8% 폭증. 2개 업체 합산 이용자수만 1716만명으로, 1위 쿠팡(3087만명)의 절반 이상으로 치솟았다.

 

업계 관계자는 “3년간 물류 투자 3조원, 와우 멤버십에 매년 4조원 이상 쏟아부으면 향후 3년간 투자금만 15조원에 이른다”며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중국 공세에 맞춰 기초체력을 확보하기 위해 와우 멤버십 요금 변경은 불가피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