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개 이상의 부업을 하는 이른바 ‘N잡러’가 최근 청년층과 40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늘면서 5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부업을 한 적이 있는 취업자는 전년 같은 분기(월평균·45만1000명) 대비 22.4%(10만1000명) 증가한 55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취업자 중 부업자 비중은 2019년 1분기 1.34%에 그쳤지만 지난해에는 1.97%를 기록하며 2%에 육박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상이 19만4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11만8000명), 40대(11만5000명) 순이었다. 30대(7만1000명)와 청년층(15∼29세·5만3000명)은 10만명을 하회했다.
증가세는 청년층과 40대가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청년층 부업자는 1년 전보다 30.9%(1만2400명)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40대 부업자는 같은 기간 27.7%(2만5000명) 늘어 두 번째로 증가폭이 컸고, 60대 이상(25.1%·3만9000명), 30대(14.9%·9300명), 50대(14.7%·1만5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N잡러가 최근 증가하고 있는 건 배달라이더로 대표되는 플랫폼 일자리가 확산한 데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플랫폼 일자리의 상당수는 시간 제약 없이 일할 수 있고 기존 일자리와 비교해 쉽게 구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1년 전부터 배달라이더로 투잡을 하고 있는 이모(45)씨는 “초기 비용이 어느 정도 들지만 내가 하는 만큼 돈을 벌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면서 “출퇴근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금전적으로도 도움이 돼 계속 이 일을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노트북이나 휴대폰만 있으면 시간·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유튜버 등 일부 정보통신업 관련 일자리도 대표적인 부업 일자리로 꼽힌다.
부업자가 늘고 있지만 소득 개선 정도는 미미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 1월 발표한 ‘복수 일자리 종사자의 현황 및 특징’ 보고서에 따르면 복수 일자리 종사자들의 주업과 부업을 합친 월 평균 소득은 294만7000원으로 단독 일자리 종사자보다 21만원 정도 많았지만 시간당 소득은 1만3000원으로 1만6000원 적었다.
부업자는 단독 일자리 종사자와 비교해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경우도 많았다. 복수 일자리 종사자의 국민연금 가입률은 2022년 기준 37.4%로 단독 일자리 종사자 가입률(64.6%) 대비 크게 낮았고, 고용보험 가입률도 복수 일자리 종사자는 49.2%에 그쳐 단독 종사자 가입률(76.3%)의 3분의 2 수준에 머물렀다. 신선옥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복수 일자리 종사자의 주된 일자리 뿐 아니라 두 번째 일자리 또한 전반적으로 근로 여건이 좋지 못하고 불안정한 곳에 분포해 있다”면서 “불안정 취업 상태에 있는 근로자들의 노동이동 특성을 분석하고 적절한 안전망 사각지대 보완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