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5·18민주화운동 44주년 추모객 발길 이어져

“청각 장애인으로 민주화운동에 참여했다가 구타를 당해 숨졌어요.”

 

부처님오신 날인 15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추모객들이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광주시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제 1묘역의 고 김경철씨 묘소 주위에 광주 한 장애인단체 회원 70여명이 모였다. 이 장애인단체의 대표는 “계엄군에 붙잡힌 김경철 열사는 청각장애인으로 계엄군의 말을 전혀 알아듣지 못했다”며 “그런데도 계엄군은 고의로 말을 알아듣지 못한 척한다는 이유로 무자비한 폭행을 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5·18민주화운동 44주년을 사흘 앞둔 이 날 오월 영령을 기리는 추모객의 발길이 이어졌다.

 

국립5·18민주묘지관리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10일간 방문객 수는 1만953명으로 평소 월평균 9800명보다 크게 늘었다.

 

이날 한 단체 참배객들은 12살 나이로 최연소 공식 사망자로 기록된 고 전재수 군의 묘소 앞에서 발길을 멈췄다. 전 군이 광주 남구 송암동 들녘에서 친구와 놀던 중 계엄군의 오인 교전에 희생됐다는 설명에 참배객들은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역사를 배우는 대학생 참배들의 발길도 끊이지 않았다. 동국대 역사교육학과 대학생 20여명은 전날 선배인 고 박병규씨의 묘소 앞에서 묵념했다. 동국대 1학년 재학 도중 광주의 항쟁에 참여한 박씨는 당시 시민수습위원회로 활동하다 계엄군에 희생됐다. 

 

경남 창원에서 온 정모(56)씨는 영화 ‘택시운전사‘를 본 이후 가족과 함께 해마다 5·18민주 묘지를 찾는다. 정씨는 “영화를 보면서 그동안 알고 있던 5·18에 대한 생각이 바뀌었다”며 “우리 아이들과 후손들을 위해서라도 독재에 맞서 싸우다가 숨진 5·18영령들의 정신을 기려야 한다”고 했다.


광주=한현묵 기자 hanshi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