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올해부터 AI가 홍수 예측… 내비에서도 경보 받는다 [오늘의 정책 이슈]

올해부터는 여름철 집중 호우 등의 상황에서 자동차 내비게이션에서도 홍수 경보를 받을 수 있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인공지능(AI) 홍수예보가 본격 도입돼 좀 더 촘촘한 예보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환경부는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2024년 여름철 홍수대책’을 발표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로 예측하기 어려운 집중호우가 일상화되면서, 지난해 7월 14명이 숨진 오송 궁평2지하차도 침수사고 등 인명피해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올해 여름철 역시 강수량이 평년보다 비슷하거나 많고, 저기압과 대기 불안정의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23년 5월 4일 제주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의 해안도로가 침수돼 차량 통행이 일부 통제되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환경부는 ‘과학에 기반하고, 현장에서 작동되는 홍수 안전체계 마련’을 위해 △인공지능 홍수예보 △국민체감형 정보 제공 △취약지역 사전 대비 △홍수 대비 물그릇 확보 △현장 대응역량 강화 등 5가지 중점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우선 지금까지 휴대폰 등을 통해 홍수주의보‧홍수경보 알림 문자(CBS)로만 전송되던 경보를 자동차 내비게이션에도 띄우기로 했다. 이번 대책에 따르면 7월부터 운전 중 홍수경보 발령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약 1.5㎞ 내로 진입할 경우 내비게이션 화면에 ‘홍수경보’ 표시와 함께 “지하차도, 저지대 진입시 주의”하라는 음성 안내가 나오게 된다. 다만 내비게이션 상에서 침수지역을 피하는 우회경로 등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 스스로 침수 위험이 있는 도로나 지하차도 등 위험지역을 파악하고 우회·대피해야 한다. 내비게이션 홍수경보는 티맵, 카카오, 네이버 등의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은 물론 현대차, 아틀란, 아이나비 등 차량용 내비게이션에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 휴대폰을 통한 CBS는 개인별 핸드폰 위치정보(GPS)를 활용해 ‘본인이 침수우려지역에 위치해있는지’ 여부와 ‘인근 침수우려지역 지도’를 함께 제공해 위험지역을 신속히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울러 올해부터는 AI 기술을 활용해 홍수 예측을 자동화한다. AI는 지난해 75개에서 올해 223개로 늘어난 홍수예보 지점을 10분 간격으로 자동 분석해, 홍수 위험에 대해 예보관이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환경부 관계자는 “기존에 사람(홍수예보관)이 홍수 위험을 판단하다보니 국지성 기습 호우 등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적시에 경보를 발령하는데에 한계가 있었다”며 “AI 기술이 이를 지원하면 더 많은 지점에서 빠르고 촘촘한 홍수 예보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또한 전국에 설치된 수위관측소(673개소)의 하천수위를 1분 주기로 관측해 수위 상승 등 위험 상황을 관계기관에 전파한다.

 

거의 매년 반복되는 도시지역 침수에 대해서도 예보를 확대한다. 지난해 처음으로 실시한 서울 도림천 도시침수예보를 올해에는 광주(황룡강), 포항(냉천), 창원(창원천)에서도 운영한다. 하천 및 하수관로 수위 등을 확인해 침수가 예상되는 상황을 지자체에 알리고, 지자체는 신속하게 주민들을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다.

관계 기관에 홍수 위험상황을 전파하는 방법도 늘어난다. 기존에는 팩스나 문자로만 전파했는데, 올해부터는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해 자동 전파하고 수신 확인이 되면 통화가 종료되는 ‘보이스 메시지 시스템(VMS)’과 지자체, 소방, 경찰 등 홍수대응 기관에 일시적으로 전파할 수 있도록 ‘재난안전통신망’을 추가한다. 또 책임감 있는 현장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자체 부단체장에게 직접 홍수 위험상황을 전달한다.

 

환경부는 집중호우시 다목적댐이 최대한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전국 다목적댐 20곳에 대한 집중 방류로 홍수조절용량을 최대한 확보할 방침이다. 발전용 댐, 농업용 댐 등에 대해서도 관계기관에 협조를 요청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국가하천 전구간(3602㎞)에 설치한 8000여대의 폐쇄회로(CC)TV를 활용해 현장 상황을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홍수대응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물재해종합상황실도 운영된다. 지난달 제방 등 하천시설과 하천점용 공사 현장에 대한 전문기관 합동 점검을 실시한데 이어 홍수기 전까지 미흡한 지점에 대한 보수·보강 등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또 각 지자체에는 맨홀 추락방지시설 설치 및 빗물받이 점검 등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올 여름 집중호우로부터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홍수기 전 남은 기간 동안 하천공사 현장 점검 및 조치 등을 신속히 완료해 홍수 대응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정우 기자 woole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