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깨지지 않는 女공무원 ‘유리천장’…지자체 간부급 20%도 안 돼 [통계로 보는 행정]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 4급 이상 간부급 여성 공무원 비중이 20%도 채 되지 않아 공직사회의 ‘유리천장’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자체 전체 여성 공무원 비중은 처음으로 남성을 넘어섰지만, 고위직으로 갈수록 여성 비중이 급감하는 것이다. 

 

8일 행정안전부의 ‘2023년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인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간부급인 1∼4급 일반직 여성 공무원은 727명으로 전체(3869명)의 18.8%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1급 공무원의 경우 7명 중 단 1명이 여성이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간부급 여성 공무원의 비중은 2021년 13.3%, 2022년 15.4%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나, 여전히 20%도 되지 않아 여성의 고위직 진출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지자체 공무원 중 여성의 비중이 처음으로 남성을 넘어선 것과는 대조적인 수치다. 지난해 지자체 여성 공무원 수는 15만7935명으로, 전체(31만3296명)의 50.4%를 차지했다.

 

여성 공무원이 대체로 하위직에 몰려있다는 의미다. 실제 지자체 8급의 여성 공무원 비중이 57.9%로 가장 높았다. 이어 9급(56.5%), 7급(51.9%) 순이었다. 반면 2급 공무원은 88명 중 단 3명이 여성으로 3.4%에 그쳤다. 3급은 12.7%였다. 지자체에 소속된 국가직 고위공무원(1∼3급 상당) 40명 중에서도 여성은 단 3명(7.5%)에 그쳤다.

 

시도별로는 1∼4급 공무원 중 여성의 비중이 부산이 35.1%로 여성 비중이 가장 높았고, 서울(24%), 울산(24.4%)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세종이 10%로 비중이 가장 낮았다. 이어 전남(11.4%), 충남(11.9%) 등 순이었다. 고위공무원의 경우 부산·충북·경북에 1명씩 있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3차(2023∼2027년) 공공부문 성별 대표성 제고계획’을 마련하고 2027년까지 여성 고위 공무원의 비율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으로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및 본부 과장급, 지방자치단체 과장급 중 여성 비율을 장기적으로 OECD 수준(2020년 기준 37.1%)로 올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여성 고위직 비율을 2027년까지 13.5%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고위공무원 비율을 높이기 위해 고위직으로 승진할 수 있는 과장급 등 여성 관리직 비율은 3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병훈 기자 bhoo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