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 사는 박모(35)씨는 최근 7년간 키우던 반려동물과 작별을 했다. 막상 장묘시설을 알아보니 광주에는 한 곳도 없었다. 광주에서 자동차로 한 시간가량 떨어진 전북에까지 가서 장례를 치렀다. 박씨는 “주변에서는 장묘시설이 없어 쓰레기봉투에 담아 버린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마지막 이별식인데 그럴 수 없어서 장묘시설을 이용했지만 너무 불편하고 비용도 많이 들었다”고 하소연했다.
광주시는 2028년까지 입양·문화센터와 동물 복합공원, 장묘시설 등을 갖춘 원스톱 반려동물 복지지원시설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서구와 동구, 북구 1곳씩 타당성 조사용역에서 제시된 3곳 중 1곳을 확정해 사업을 추진하고 광주 전역에 8개의 동물 놀이터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시민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난관에 부딪혔다. 반려동물 복지시설의 핵심인 장묘시설이 들어설 예정지의 주민들 반대가 워낙 심해 장기과제로 전환해야 했다. 지자체가 장묘시설 조성 사업을 추진하기에는 법적 근거도 불명확한 상황이다. 장묘시설이 장기과제로 전환되면서 매년 늘어나는 광주지역 반려인들은 장묘를 위해 전북과 전남 등 다른 지역으로 원정을 가야 하는 불편을 겪게 됐다.
광주시에 등록된 반려동물은 매년 증가세다. 등록의무제가 시행된 2014년에는 1만3000여마리만 등록했지만 2019년 4만4000여마리로 는 데 이어 지난해에는 7만2000여마리가 등록했다. 시는 전체 가구의 26%인 37만가구가 반려견 13만4000여마리, 반려묘 5만여마리를 키우고 있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시는 추모공원에 동물 장묘시설을 함께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북구 효령동에 들어설 예정인 추모공원에 공공장묘시설 설치를 추진했지만 추모공원에 동물 장묘시설을 설치할 수 없다는 현행법에 묶여 포기했다. 시 관계자는 “시민 대상 설문 조사에서 24%가 장묘시설이 필요하다고 답했다”며 “공공장묘시설 설립은 법규 개정을 추진하면서 민간영업장 운영 등을 고려해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광주 반려가구 매년 느는데… 동물장묘시설 ‘0곳’
기사입력 2024-06-10 20:20:41
기사수정 2024-06-10 20:20:40
기사수정 2024-06-10 20:20:40
시설 수요 증가 불구 지역 내 ‘전무’
다른 지역 원정장례 등 불편 겪어
지자체 신설 계획, 주민 반대 난관
市 “법률 개정·민간 운영 등 추진”
다른 지역 원정장례 등 불편 겪어
지자체 신설 계획, 주민 반대 난관
市 “법률 개정·민간 운영 등 추진”
광주=한현묵 기자 hanshim@segye.com
Copyrights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