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김상미의감성엽서] 부조리극의 성스러움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를 듣는다. 4분의 3박자로 계속 반복되는 리듬이 차츰차츰 내 내면으로 차오르며 형태도 없고 방향도 없는 무거운 불안 덩이를 잘게 잘게 부수며 서서히 나를 춤추게 한다. 라벨의 ‘볼레로’는 글이 잘 안 되거나 못 견디게 마음이 울적해지면 저절로 손이 가는 곡이다. 16분짜리 이 곡을 연달아 두세 번쯤 들으면 묘하게도 마음이 깨끗해지고 개운해진다. 그런 의미에서 이 곡은 내겐 둘도 없는 절친이다. 오늘도 이 곡을 들으며 악몽(?)이 될 뻔한 하루를 리듬에 태워 아주 멀리 보내버리곤 거의 30여년 만에 에우제네 이오네스코의 희곡집을 집어 든다.

본격적 서울 생활을 시작한 30대 초반, 나는 연극광처럼 참 많은 연극을 보러 다녔다. 연극 관계 일을 하는 몇몇 사람이 내 곁에 있어 초대권이 자주 생기는 덕분에 이오네스코의 연극은 물론 페터 한트케의 ‘관객모독’, 사뮈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이윤택의 ‘오구-죽음의 형식’이나 ‘시민K’ ‘비닐하우스’ 등등을 찬탄하며 보았다. 일명 부조리극으로 통하는 연극들이다. 부조리극 혹은 반연극, 전위극이라 불리는 이 장르는 1950~1960년대에 걸쳐 유럽에서 유행한 것으로 전통적인 연극 형식을 파괴하거나 등장인물 간 대화의 무의미함을 드러냄으로써 모든 소통이 무너질 때 일어나는 비합리적이고 비논리적인 인간 실존 상황을 보여주는 극이다. 그중 가장 큰 특징은 줄거리라 할 만한 줄거리가 없다는 것이다. 부조리극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이오네스코, 베케트, 아르튀르 아다모트 등이 있다.

‘대머리 여가수’ 역시 줄거리 없는 연극으로 배우들이 끊임없이 나누는 어떤 맥락도 의미도 없는 대화를 통해 현대인의 허위의식과 소통 불능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백 년 전의 작품이지만 1957년 프랑스 위셰트 극장에서 ‘수업’과 함께 재공연되면서 지금까지 하루도 빠짐없이 한 극장에서 무려 68년째 계속 공연되고 있다. 참으로 놀랍고 부럽다!

아무튼 내가 태어나기도 전에 이 연극이 무대에 올랐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로 이제는 고전이 되어버렸음에도 이오네스코의 연극에는 시대를 초월하는 전위적 성스러움이 있다. 사람(배우)이 아닌 말(대사)이 연극의 대상이 되고, 그 말 자체가 하나의 등장인물이 될 수 있다는 데에 지금도 신선한 충격을 받고 있으니까.

그리고 이들 연극이 다른 연극들보다 더 좋은 건 보고 난 뒤에도 사유(질문)의 시곗바늘을 계속 돌려야 하고 그 답을 찾는 동안 이오네스코적이며 바케트적인 행복한 콤플렉스에 빠져 허우적대야 한다는 것이다. 어쨌든 올해는 이오네스코의 연극이 무대에 오르면 만사 제쳐놓고 보러 가야겠다. 참 오랜만에 이오네스코의 연극이 다시 보고 싶어지는 저녁. 그의 반어적 대사 속에서 번뜩이는 비수. 그 언어의 비수에 찔려 오랜만에 피 철철 흘리며, 그 피로 멋지게 시 한 편 쓰고 싶어지는 저녁. 볼레로와 이오네스코와 베케트와의 붉디붉은 애무의 즐거운 시간들!

김상미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