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최대 2.4∼2.6%… 국내외 기관 상향 조정

국내 기관들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잇따라 상향 조정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수요 확대에 따른 반도체 수출 증가가 가장 큰 기대 요인이다.

 

한국경제인협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2.4%로 조정한다고 13일 밝혔다. 

 

지난 11일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에서 컨테이너가 선적 및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뉴시스

앞서 이미 다수 국내외 기관들이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올려잡았다. 

 

한국은행은 지난 2월 2.1% 전망에서 지난달 2.5%로 0.4%포인트 높였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기존 2.2%에서 2.6%로 조정했다. 상반기 2.9%, 하반기 2.3%를 예측했다. 산업연구원도 최근 2.5%로 전망했다. 산업연구원의 기존 전망치는 2.0%였다. 

 

한국금융연구원이 제시한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5%로, 기존 2.1%에서 상향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도 지난달 발표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2.6%로 전망했다. 2월 제시한 2.2%보다 0.4%포인트 상향한 것이다. 

 

이는 예상보다 강한 최근의 수출 회복 흐름이 반영됐다.

 

한경연에 따르면 글로벌 정보기술(IT) 업황 불황 및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 부재,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에 따른 원자재 수급불안 등으로 지난해까지 침체 흐름을 보여왔던 수출은 올해 주요국의 경기회복 및 IT 시장의 수요 확대로 회복되고 있다.

 

내수 회복이 늦어지는 것은 경제성장에 부정적 요인이다. 한경연은 내수 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 소비가 올해 1.9%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소득 여건이 정체된 가운데,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이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이 원인이다. 원리금 상환부담 누적으로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는 부동산 PF 등 민간 부채 리스크가 성장경로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한경연은 “장기간 심화되어 온 경제 여건 부실화와 정책적 지원 여력 약화의 영향으로 신속한 내수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며 “고환율·고물가 흐름이 완화하고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구체화될 때까지 내수 회복이 지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