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톱(Top)5 도시’를 목표로 하는 서울시가 미래인재 육성을 위해 5년간 6500억원을 시내 대학에 투자한다. 대학의 인적·연구 자원을 시의 경제·산업정책과 연계해 도시경쟁력을 높이고, 그동안 대학 건물에 적용됐던 불필요한 규제들을 완화해 한정적인 공간을 효율적으로 쓰도록 돕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8일 서울시청에서 이 같은 내용의 ‘대학과 함께하는 서울 미래 혁신성장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가 대학지원 관련 행·재정 권한을 지방자치단체로 넘기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라이즈)’을 2025년부터 도입하려고 하는데, 이에 맞춰 자체 계획을 수립한 것이다.
시는 내년부터 2029년까지 매년 1300억원, 5년간 6500억원을 들여 시내 54개 대학의 산학협력을 강화하고 미래산업인재 양성과 창업 활성화를 추진한다. 글로벌 기술이전과 지식재산권 등 성과를 창출할 ‘협력대학’ 12개대를 선정해 5년간 600억원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창업 초기부터 글로벌 비즈니스에 초점을 맞춘 ‘본 글로벌(Born Global)’ 창업기업을 60개 이상 배출한다는 구상이다. 산학 공동연구와 기술개발·사업화 등에 초점을 맞춘 30개대를 선발해 시의 경제·산업전략과 연계한다. 선도대학은 이렇게 42곳이다.
1억원 이상 산학 공동연구 등을 실시한 과제 60개를 선정해 기술 고도화·실용화를 지원한다. 대학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자 인공지능(AI)·바이오 분야 혁신대학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2곳을 선정해 500억원을 투입한다. 양재와 홍릉 중심의 AI·바이오 산업지도를 서울 전역으로 넓힐 계획이다.
인재 양성에도 나선다. 대학과 기업이 협력해 양질의 교육부터 취업까지 연계하는 ‘미래산업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20개대를 지정, 이공계 석‧박사급 1000명을 기른다. 웹툰 등 K-콘텐츠의 경쟁력을 높일 창조산업 분야 인재를 8개대에서 400명, 뷰티·패션·기계·전자 등 기술 분야 고숙련 전문인력을 전문대 8곳에서 800명 양성한다. 외국인 이공계 석·박사급 1000명도 유치한다. 총 3200명을 키운다.
대학을 혁신창업의 산실로 ‘업그레이드’한다. 2029년까지 ‘서울캠퍼스타운’에서 1300개 이상의 대학 창업기업을 배출하고 단계적 지원을 통해 성장을 돕는다. 시는 2026년까지 5조원 규모의 ‘서울비전2030 펀드’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데, 이 펀드의 일부를 대학 창업펀드에 투입할 생각이다. 아울러 시는 시민 3만명 이상에게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는 ‘열린 대학’ 20곳을 운영한다고 덧붙였다. 시는 매년 1000억원 규모의 국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했다. 나머지 연간 예산 300억원은 시비로 충당한다.
시는 투자뿐만 아니라 도시계획 혁신 차원에서 각 대학이 ‘혁신캠퍼스’를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앞서 오 시장은 2022년 ‘대학 도시계획 지원방안’을 발표하면서 서울시내 대학에 혁신성장구역을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대학 내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을 기존 200㎡당 1대에서 250㎡당 1대로 완화한다. 연내에 조례 개정을 추진한다. 주차장을 줄이는 대신 공공·민간기숙사를 늘리고 폐교나 미개설 학교용지 등을 활용해 ‘행복기숙사’를 건립한다. 대학의 자산을 시민과 공유하는 ‘오픈캠퍼스’를 실현하기 위해 시설을 개방하고 미술관·공연장 등을 새로 조성한다. 대학의 담장을 철거하고, 방학에 비는 대학 기숙사를 해외 관광객에게 개방하는 ‘캠퍼스 스테이’를 도입한다. 이 밖에 각 대학이 기후 위기 대응이나 녹지공간 조성에 동참토록 유도한다.
서울 소재 54개 대학에선 재학생 68만명, 전임교원 2만여명이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매년 졸업생 13만여명을 배출한다. 외국인 유학생은 7만5000명으로, 전체의 절반 수준이다.
오 시장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미래 대한민국의 경제 번영을 좌우하는 대학 첨단학과 지원이 중요한데, 그동안 많이 늦었다”며 “5년, 10년 전부터 준비했어야 하는데 이제 불이 붙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대한 서둘러서 해당 학과들에 행정·재정적 지원을 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기자설명회엔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인 박상규 중앙대 총장을 비롯해 유지범 성균관대 총장, 김동원 고려대 총장, 원용걸 서울시립대 총장 등도 참석했다. 박 총장은 “이번 서울시의 계획은 대학의 국제경쟁력 강화와 미래먹거리인 첨단산업 육성 등에 있어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