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높아지는 영유아 장애위험 비율… 맞벌이·소도시 가정 인지 늦어

영유아기 아동 장애위험 비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위험성 조기 발견이 중요한 가운데 맞벌이 가정이나 중소도시·농촌 지역 가정일수록 인지가 늦는 경향이 발견됐다.

 

29일 육아정책연구소 ‘장애위험 영유아 육아 실태 및 가족중심 지원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영유아 발달선별 검사 결과 2021년 기준 영유아 180만4968명 중 2.43%인 4만3880명이 ‘심화평가 권고’를 받았다. 2019년 2.2%, 2020년 2.38%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심화평가 권고는 또래 수준과 비교해 발달지연이 의심돼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정밀검사가 필요한 단계이다.

 

0∼5세 자녀의 발달지연 문제를 가진 부모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자녀의 발달지연이나 문제행동을 처음 알게 된 시기는 ‘19~24개월’이 27.6%로 가장 많았다. 이어 ‘25~35개월’ 24.1%, ‘13~18개월’ 17.7%의 순으로 조사됐다.

 

상대적으로 맞벌이·대도시 가정보다 중소도시나 농촌 지역 가정의 아이 발달지연 인지 시점이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벌이 가정은 3세 이후 인지 비율이 14.9%지만, 맞벌이 가정은 25.6%로 10% 이상 차이가 났다. 대도시 가정의 경우 3세 이후 인지 비율은 14.8%인 반면 중소도시 가정은 24.4%, 읍면지역 가정은 24% 수준이었다.

 

부모들은 발달과 행동 치료에 관한 정보를 얻는 데 가장 큰 어려움으로 ‘아동 발달 관련 전문가/전문기관 정보 부족’(25.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느린 아이, 문제행동 아이 육아 지식 정보 부족’ 21.2%, ‘발달상태 점검 정보 부족’ 17.7%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이 낮은 집단에서 정부지원과 관련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어려움을 토로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들은 ‘자녀 상황에 맞는 상담 기관에 대한 정보가 있으면 좋겠음’(42.4%)을 가장 필요한 점으로 꼽았다. 필요한 정부 지원으로는 바우처 비용 증액’(24.6%)이 가장 높은 비율로 선택됐다. 이어 ‘바우처 종류 및 사용처 확대’(20.7%), ‘가정 방문 발달지원 전문가 도입’(17.7%) 순이었다.

 

보고서는 우선 국가 영유아건강검진을 더 내실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검진을 시행하는 의사가 영유아의 발달에 대해 직접 점검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조기 선별을 위해 18개월 이전 검사를 촉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부모들이 자녀 발달과 관련한 전문기관, 전문가, 정부 지원 관련 정보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포털사이트 앱(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한편, 부모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도 제안했다.

 

끝으로 보고서는 “현행 영유아발달지원바우처는 중위 소득 140% 이하 가정에 지원하고 있지만 언어, 감각 등 발달치료 프로그램은 회당 요구 비용이 상당히 비싸 지원에 한계가 있다”며 바우처 비용 상향과 사용처 확대를 주문했다.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