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인플레이션과 고물가로 인해 결혼 비용이 오르면서 규모를 줄이거나 아예 절차를 생략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6일(현지시각) CNBC는 미국 결혼 업체 나트의 2023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해 미국 결혼식과 연회 평균 비용이 3만5000달러(약 4800만원)라고 보도했다.
이는 1년 전보다 약 16.7% 상승한 수치로 5000달러(약 690만원) 증가했다.
결혼 비용이 오르자 결혼을 준비하는 연인들은 하객 수를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미국에서는 하객 수를 줄인 '스몰 웨딩'이, 한국은 결혼식을 진행하지 않는 '노 웨딩'이 주목받고 있다.
웨딩 리포트에 따르면 미국 내 결혼식 하객수는 지난 2006년부터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다. 2006년 184명이었던 평균 결혼식 하객수는 코로나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 107명으로 대폭 줄었다.
웨딩 리포트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인 쉐인 맥머레이는 "2021년엔 124명으로 조금 늘었지만, 이는 사람들이 락다운(봉쇄) 조치 이후 만나고자 하는 욕망이 컸기 때문"이라면서 "결혼식 비용이 크게 올랐기 때문에 결혼 규모는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웨딩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하객 25~50명 결혼식은 전체의 15%를 차지했고 25명 미만 결혼식은 약 2% 차지했다. 예년에 비해 커진 비율이다.
한국의 결혼 시장도 미국과 다를 바 없다. 물가가 치솟으면서 결혼 준비 비용 부담이 커지자 '스몰웨딩'에 이어 결혼식 절차를 건너뛰고 자가 장만에 집중하는 '노웨딩'까지 등장했다.
서울 시내 웨딩홀의 평균 예식 비용은 8만원 안팎으로 호텔 웨딩홀의 경우 식대만 13만원에서 20만원 정도다. 홀 대관료와 꽃값 등을 합하면 결혼식 한 번에 수천만 원이 들어가는 셈이다. 예식 비용의 증가는 하객의 부담으로 이어졌다.
각종 결혼 준비 정보 카페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최근 '식대 이하' 축의금을 낼 거면 참석하지 않는 게 예의라는 주장도 나왔다. 과거에는 3만~5만원 선에서 축의금을 해결하는 게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참석하면 10만원, 불참하면 5만원'이라는 인식이 많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뉴시스>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