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완섭 환경부 장관 후보자 처가가 운영하는 업체가 환경부 산하기관에 오랜 기간 납품해온 사실이 확인됐다. 기획재정부 출신 인사로 전문성 논란이 불거진 데 이어 이해충돌 논란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11일 더불어민주당 박홍배 의원실이 환경부 산하기관으로부터 받은 자료 등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김 후보자 처가가 사실상 운영하는 A업체가 이들 기관과 실험기기 납품 및 용역 계약 총 16건을 체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김 후보자 배우자는 가액 기준 3억4000만원 상당의 A업체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다. 현재 A업체 대표는 김 후보자의 처남이었고, 전 대표는 김 후보자의 장인이었다.
김 후보자는 지난해 6월부터 기재부 2차관을 지내다 12월 사표를 내고 4·10 총선에서 강원 원주을에 출마했다 낙선했다. 차관에서 물러나면서 올 1월 백지신탁 상태였던 김 후보자 배우자의 A업체 주식이 돌아왔다.
이번에 확인된 A업체와 환경부 산하기관 간 계약 내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국수자원공사가 8건 1600여만원, 한국환경공단 5건 500여만원, 국립환경과학원 3건 790여만원이었다.
김 후보자 측은 “10년 동안 총 3000만원이 안되는 규모”라며 “취임한다면 관련 법규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답했다.
박 의원은 이날 통화에서 “A업체가 환경부와 직접 관련이 있는 산하 공공기관과 체결한 계약 규모만 이번에 확인된 것으로, 그 밖에 수많은 환경 관련 연구소·업체 등 생태계에서 (김 후보자 처가 측 업체가) 계속 비즈니스를 하는 것이지 않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환경에 전문성이 있는 인사라도 이런 이해충돌 사안이 있으면 인선을 할까 말까 고민을 하는 게 상식적일텐데, 전문성도 없는 데다 이해충돌 문제까지 있는 인사를 환경부 장관 후보로 지명하는 이유를 이해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스스로도 본인의 전문성 부족 문제를 인정한 바 있다. 그는 최근 인사청문회 준비를 위한 사무실 출근길에 취재진을 만나 이와 관련해 “제가 환경 전문가만큼 지식이 있다고 할 수는 없다”며 “부족한 지식은 수십 년간 환경업무를 해온 환경부 공무원들과 소통하면서 보완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