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큐텐, 티몬·위메프 대표 승인 없이 자금 빼 써"

250억원 내외 대여자금 사후 승인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를 빚은 티몬과 위메프(티메프)의 모기업인 큐텐이 내부 절차를 어기고 두 플랫폼 자금을 빼 쓴 정황이 확인됐다.

3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큐텐은 지난 4월 11일 위시 인수 자금 명목으로 티몬에서 200억원을 빌렸다. 이자는 4.6%, 만기는 1년이다.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와 류광진 티몬 대표가 지난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티몬·위메프(티메프) 사태' 관련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하고 있다.

큐텐은 지난 2월 1억7천300만달러(약 2천300억원)에 북미·유럽 기반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 위시를 인수했다. 당시 큐텐이 티몬에서 자금을 빌린 건 위시 인수대금 납부 기한을 앞두고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이를 위한 내부 승인 절차는 비정상적이었다.

대여금 집행 문서의 기안일은 지난 4월 11일이었으나 류광진 티몬 대표의 최종 승인이 난 것은 나흘 뒤인 15일로 확인됐다. 이미 티몬에서 자금이 빠져나간 뒤 사후 결제가 이뤄진 셈이다.

올 초에도 같은 일이 반복됐다.

큐텐은 또 지난 1월 11일 금리 4.6%로 1년 만기 자금 50억원을 티몬에서 빌렸다. 이 당시에도 대표의 승인은 자금 대여가 집행된 날로부터 19일이나 지나 1월 30일에야 이뤄졌다.

두 건 모두 결제 단계는 기안자부터 대표까지 4단계에 이른다. 이 가운데 류 대표를 제외한 기안자와 2차 승인자인 재무팀장, 3차 승인자인 재무본부장까지 모두 큐텐의 기술 부문 자회사인 큐텐테크놀로지 소속이었다.

 

류화현(왼쪽부터) 위메프 대표, 류광진 티몬 대표, 구영배 큐텐 대표가 지난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에 대한 현안질의에 출석해 자리하고 있다.

큐텐은 2022∼2023년 티몬과 위메프를 차례로 인수한 뒤 재무와 기술개발 조직을 해체하고 해당 기능을 큐텐테크놀로지에 넘겼다. 이 회사는 사실상 큐텐 한국 자회사의 콘트롤타워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인 흐름을 보면 큐텐 측이 이런 자금 이동을 사전에 류 대표와 상의하지 않았거나 류 대표가 대여금 집행 시점에 이를 인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짙다.

실제 류 대표는 전날 국회 정무위원회가 마련한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 관련 긴급 현안 질의에 출석해 "재무 관련해서는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는 취지로 말했다.

티몬과 위메프 안팎에서는 대표의 최종 결제 없는 이 큐텐으로 넘어간 사례가 있으며 두 회사 대표조차 정확한 이전 자금 규모를 알지 못한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티몬과 위메프에서 큐텐으로 빠져나간 자금 중에는 판매자들에게 정산해줘야 할 결제 대금도 섞여 있을 개연성이 높다.

구 대표는 전날 국회 정무위 긴급 현안 질의에서 "티몬과 위메프 자금 400억원을 위시 인수대금으로 썼으며 이 중에는 판매대금도 포함돼 있다"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해당 자금을 한 달 안에 바로 상환했다"며 "이는 이번에 발생한 정산 지연 사태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다만, 검찰 수사에서 절차를 따르지 않고 임의대로 자회사 자금을 빼 쓴 사실이 확인될 경우 횡령·배임 혐의를 적용할 수 있다고 법조계는 보고 있다.

 

이복현(오른쪽)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에 대한 현안질의에서 구영배 큐텐 대표 관련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은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도 정무위 긴급 현안 질의에서 "큐텐 자금 추적 과정에서 강한 불법 흔적이 드러나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고 주요 대상자 출국금지 등을 요청했다"고 밝힌 바 있다.

검찰은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를 중심으로 전담수사팀을 구성해 본격 수사에 들어간 상태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