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수도권 평균 출퇴근 시간 1시간 30분… 남자일수록 길어

지난해 서울 종로구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에서 승객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뉴스1

 

수도권의 평균 출퇴근시간이 1시간 30분으로 집계됐다. 비수도권에 비해 27.3분이 더 길었고 남성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출퇴근 시간이 길었다. 

 

2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출퇴근시간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수도권 거주자의 평균 출퇴근시간은 90.4분으로, 비수도권의 63.1분보다 27.3분 더 길었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78.4분), 대구(73.0분), 광주(68.0분) 순이었다.

 

2004년에서 2019년까지 15년 간 평균 출퇴근시간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경기도로, 17.4분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서울은 6.5분, 인천은 5.0분, 부산은 3.2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평균 출퇴근시간은 72.1분으로 2004년(65.0분)보다 10% 이상 증가했다. 60분 이상 출퇴근인구도 2004년 51.4%에서 2019년 60.8%로 9.4%포인트(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일자리와 인구가 집중된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출퇴근 시간이 길었다.

 

성별로는 2019년 기준 남성이 75.6분, 여성이 약 67.3분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길었다. 60분 이상 출퇴근인구 비중도 남성은 64.4%였는데 여성은 55.9%였다.

 

다만 성별 차이는 혼인상태별로 달랐다. 미혼인 경우 오히려 남성보다 여성이 1.2분 길었지만, 기혼집단에서는 남성이 75.6분, 여성이 63.3분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2.3분 짧았다.

 

손 연구위원은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에도 높은 유연성과 근로시간을 선호하는 경향은 다른 국가의 사례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된 바 있다”며 “만약 여성이 더 유연하고 출퇴근시간이 짧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 낮은 노동조건을 감수하는 것이라면 여성들이 왜 유연하고 직주근접성이 높은 일자리를 선호하는지 그 이유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출퇴근시간 감소를 위해 공간구조 차원에서 직주근접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며 “일정 생활 반경 안에 원격근무와 육아를 연계하는 공유오피스의 활성화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노동시간과 가족시간 간의 균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장시간 노동 해소와 유연한 근무방식의 확대를 위해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한편 출퇴근시간에 1시간 이상이 소요되면 의학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정신건강 악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