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아파트 가격이 21주째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전세가율 상승세 역시 1년째 지속하고 있다.
전세가율이 매매가격 대비 전세보증금의 비율인데 예를들어 매매가격이 10억원이고 전세보증금이 6억원이라면 전세가율은 60%이다. 4억원이 있으면 아파트 매매가 가능하고 이런 경우를 이른바 ‘갭투자’라고 부른다.
전세가율이 높아지면 실제 들어가는 내 돈이 줄어들어 갭투자의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19일 KB국민은행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의 매매 대비 전세가 비율은 53.9%로, 표본 개편이 있었던 2022년 11월 이후 1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금리 인상으로 인해 전셋값이 급락하고 역전세난이 심화되었던 지난해 4월 50.8%까지 떨어졌으나, 이후 아파트값과 전셋값이 동반 상승하면서 전세가율이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특히 작년 7월 50.9% 이후로 지난달까지 연속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세가율 상승의 주요 원인은 매매가격 상승 폭보다 전세가격 상승 폭이 더 크기 때문이다.
올 들어 7월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누적 0.02% 상승하는 데 그쳤으나, 전셋값은 3.79% 상승했다.
한국부동산원의 조사에서도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값이 1.75% 상승한 반면, 전셋값은 3.10% 올라 전세가격의 상승폭이 더 크다는 사실이 확인됐니다.
구별로 살펴보면, 강북구의 전세가율이 62.0%로 가장 높았고, 중랑구(61.6%), 금천구(61.4%), 성북구(61.0%), 관악구(60.4%), 은평구(60.2%) 등의 전세가율도 60%를 넘었다. 반면, 강남(42.7%), 서초(47.2%), 송파구(46.5%) 등 고가 아파트가 밀집해 있는 강남 3구의 전세가율은 50%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6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약 7,500건에 달하며, 7월 거래량은 벌써 8,000건에 육박하는 등 거래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거래량 증가는 최근 은행권의 담보대출 금리 인하와 함께 전셋값 상승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갭투자는 집값이 오른다는 기대와 저금리 등 갭투자를 유발하는 조건이 맞물릴 때 투기적 가수요가 움직이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