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관상동맥중재시술 후 출혈 위험 높은 환자 사망 위험 3.7배 높아

관상동맥중재시술 후 빈혈·신장질환 환자 등 출혈 위험이 높은 환자군은 장기적으로 부작용이 더 많이 발생하고 사망 위험도 최고 3.7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김효수·박경우·강지훈 교수(윤준필 임상강사) 연구팀은 2009∼2018년 관상동맥중재시술을 받은 환자 32만5000여명을 대상으로 출혈 고위험군을 선별해 임상 특성과 장기 예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27일 밝혔다.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효수·박경우·강지훈 교수, 윤준필 임상강사.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은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의 원인이 되는 치명적 질환으로, 치료를 위해 좁아진 관상동맥을 넓히는 관상동맥중재시술을 실시한다. 시술 후에는 재발 방지를 위해 항혈소판제 복용이 필수적인데,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이 이 약제를 장기 복용할 경우 출혈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출혈 고위험군은 항혈소판제 장기복용, 중증-말기 신장질환, 중증 빈혈, 간경변, 암, 뇌출혈 등 ‘주요 특징 1개’ 혹은 75세 이상 고령, 중등도 신장질환, 경증 빈혈, 스테로이드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 장기 이용 등 ‘부수적 특징 2개’ 이상인 환자를 의미한다.

 

연구팀이 관상동맥중재시술을 받은 국내 환자를 분석한 결과 5명 중 1명은 출혈 고위험군으로 나타났다.

 

이들을 10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출혈 고위험군은 나머지 환자군보다 출혈성·허혈성 사건(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발생 위험이 각각 3.12배, 2.5배 높았다. 또 사망 위험은 3.73배 높았다.

출혈 고위험군은 나머지 환자군보다 10년간 추적 관찰한 출혈성 및 허혈성 사건 발생 위험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이 출혈 고위험군 분류 기준인 주요 및 부수적 특징을 분석한 결과 주요 특징은 중증 빈혈(24.2%), 항혈소판제 장기복용(22.2%), 만성 출혈(11.0%), 중증-말기 신장질환(9.1%) 등으로 나타났다. 부수적 특징은 75세 이상 고령(50.5%), 경증 빈혈(42.1%) 등이 있었다. 특히 관상동맥중재시술 후 1년 이내 연평균 출혈성 사건 발생률은 주요 특징 1가지인 경우 5.5%, 부수적 특징 1가지인 경우 2.9%로 나타났다.

 

박경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관상동맥중재시술 환자의 20%는 장기적 예후가 좋지 않은 출혈 고위험군인 것으로 확인했다”며 “이들의 생존율을 향상하려면 동반질환을 세심하게 관리하고, 항혈소판제 복용 기간을 단축하거나 용량을 낮추는 등 정교하게 조절한 맞춤형 약물치료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 심장 저널(European Heart Journal)’ 최근호에 게재됐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