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원 10명 중 9명은 일자리에서 얻는 소득으로는 생계를 유지하기 어렵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중 8명은 아플 때 유급 병가를 사용할 수 없었다고 답했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 온라인노조 추진위원회와 한국어교원협회는 9일 한글날을 맞아 대학 어학당, 초·중·고교, 가족센터 등에서 일하는 한국어 교원을 대상으로 노동실태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조사는 8월26일∼9월13일까지 524명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95.2%는 현재 소득이 생계유지에 ‘충분하지 않다’고 답했다.
월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의 급여를 받는다는 응답자는 39.7%, 월 100만원 미만의 급여를 받는다는 응답자도 15.7%나 있었다.
이처럼 임금이 적어 가족의 소득에 의지한다는 응답자는 53.4%에 달했다. 별도의 경제 활동을 한다는 응답도 39.2%를 차지했다.
한국어 선생님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도 드러났다. 응답자의 93.4%는 지난 한 해 동안 연차 휴가를 사용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83.8%는 아플 때 유급 병가를 사용할 수 없다고 답했다.
‘가족이나 지인이 한국어 교원으로 근무하고자 한다면 이 일을 추천하겠는가’라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8.1%가 추천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한 응답자는 한국어 교원을 추천하지 않는 이유로 “고학력 저임금 노동자가 된다”며 “육아휴직·국민연금 등 노동자의 권리를 사용할 수 없다”고 답했다고 직장갑질119 측은 전했다. 한국어 교원은 국립국어원으로부터 자격증을 취득해야만 학교 등에서 일할 수 있다.
설문조사를 담당한 대학노조 연세대 한국어학당 최수근 전 지부장은 “지금 이 순간에도 ‘한국어 세계화’라는 허울 좋은 정부 정책의 그늘에서 한국어 교육 노동자들은 저임금과 고용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