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서울시 “지열에너지는 기후위기 해법” 보급 박차

市, 설비 확대 팔 걷어

2030년까지 원전 1기 수준 목표
가락시장 냉난방 64% 이상 충당
연면적 3만㎡ 이상 신축에 의무화
유지 관리 지원에 맞춤 컨설팅도

서울시가 지열에너지 보급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상이변이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친환경 냉난방 에너지원으로 지열을 주목한 것이다. 시는 2030년까지 원자력발전소 1기 생산 규모의 지열설비를 보급해 기후위기 대응에 나선다.

1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2030년까지 총 1GW의 지열에너지 설비 보급을 목표로 설정했다. 연도별로는 지난해 315㎿, 올해 373㎿, 2026년 600㎿ 등 단계적으로 늘린다. 이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은 지난해 13만tCO₂, 올해 15만4000tCO₂, 2026년 24만8000tCO₂, 2030년 41만3000tCO₂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열에너지는 지하와 대기의 온도 차를 활용한 친환경에너지다. 땅속 온도는 15도 내외로 사계절 일정해 땅 위보다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하다. 지열시스템은 겨울에 땅속에서 열을 얻어 난방에 활용하고 여름엔 땅속으로 열을 방출해 냉방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날씨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며, 별도의 변환 과정 없이 직접 냉난방에 쓸 수 있어 에너지 손실이 적은 것이 장점이다.

시는 공공과 민간 부문으로 나누어 지열에너지 보급 확대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공공부문에선 국내 최대 규모의 지열 설비(23.4㎿)를 도입하는 서울농수산식품공사의 가락시장 현대화사업이 대표적이다. 가락시장 전체 냉난방의 64%(소매권역 27%, 도매권역 90%) 이상을 지열로 충당한다. 도매시장의 주요시설인 경매장 및 중도매인 점포는 냉난방을 100% 지열로 운영한다.

이와 함께 권역을 나눠 도심권은 노들 글로벌예술섬과 용산국제업무지구를 중심으로, 동북권은 서울아레나와 창동차량기지 복합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조성된다. 동남권은 가락시장과 인공지능(AI)지원센터를 대표 모델로 만들고, 서북권은 북아현3재정비촉진구역을 통해 확산한다. 서남권은 마곡 공공형 지식산업센터와 건설형 도전숙 복합개발사업, 보라매병원안심호흡기센터가 중심이 된다.

민간 부문의 경우 내년부터 연면적 3만㎡ 이상인 비주거 신축 건물에 일정 비율 이상의 지열설비를 의무 설치하도록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개정을 추진한다. 기존 건물의 경우 지열설비의 성능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지열 전문가 컨설팅과 노후화 설비교체를 지원한다. 마포구 상암동 서울에너지드림센터 내에 지열홍보관을 조성해 지열에 대한 시민 인식 개선에도 힘쓴다.

시는 지열설비 보급과 함께 운영관리 강화를 위한 정책도 추진한다. 모니터링시스템(REMS)을 구축해 지열설비 운영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A/S지원센터를 개설해 고장 설비 등 유지관리 지원을 체계화할 계획이다. 지열 컨설팅 자문단을 운영해 설비별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서울시 지열 표준 매뉴얼을 만들어 시공 이해도와 전문성을 높여 관련 산업 생태계도 활성화한다.

여장권 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온실가스 배출량의 70%를 건물 분야가 차지하는 만큼 서울에서 지열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최적의 대안”이라며 “지열을 중심으로 신재생에너지를 계속 보급해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