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尹, 2년만에 시 주석 만나... “한·중 긴밀 협력, 러·북 군사협력 대응” 강조

APEC 계기 29분간 한·중 정상회담
윤 “북·러 군사협력, 한반도 문제” 강조
시 주석, “지역평화 안정과 발전” 기여
미·중 갈등 속 한·중관계 개선 신중론도

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중국 시진핑 국가 주석과 정상회담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을 규탄하고 양국이 협력해 역내 안정과 평화를 도모하자고 했다. 또 양국의 경제 협력도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각) 페루 리마 한 호텔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한-중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리마=뉴시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페루 수도 리마를 방문 중인 두 정상이 만난 것은 2022년 11월 주요20개국(G20) 이후 2년 만이다.

 

대통령실은 이날 리마 시내 한 호텔에서 오전 11시6분부터 35분까지 약 29분간 윤 대통령과 시 주석이 만나 정상회담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북한의 연이은 도발과 우크라이나 전쟁 러·북 군사협력에 대응해 한·중 양국이 역내 안정과 평화를 도모하는 데 협력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중국은 우리가 안보, 경제, 문화, 인적 교류 등 제반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고 있는 중요한 국가”라며 “상호 존중, 호혜, 공동 이익에 기반하여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내실 있게 발전시켜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이에 화답하듯 “정세가 어떻게 변화를 하든 중한 양국은 수교의 초심을 고수하고 선린 우호의 방향을 지키며 호혜 상생의 목표를 견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가 서로 통하며 경제가 서로 융합된 장점을 잘 발휘해야 한다”며 “양국 국민에게 복지를 가져다주고, 지역의 평화, 안정과 발전, 번영을 위해 더 많은 기여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각) 페루 리마 한 호텔에서 열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한-중 정상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리마=뉴시스

정상 회담에서는 북한과 러시아의 불법 군사협력 등 안보 문제를 비롯해 경제, 통상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의제의 제한 없이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회담에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조태열 외교부장관,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장호진 외교안보특보 중국에서는 차이치 중앙정치국 상무위원과 왕이 외교부장, 정산지에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의원장, 란포안 재정부장, 왕원타오 상무부장 등 양국 핵심 관료들이 대거 배석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전날 현지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한중 양 정상은 양국 간 경제협력과 문화·인적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한반도를 포함한 역내 정세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의견 교환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5일(현지시각) 페루 리마 한 호텔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한-중 정상회담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리마=뉴시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회담 의제에 대해 “미국 대선도 끝났고, 안보·경제 모든 측면에서 글로벌 질서에서, 새로운 관점에서 도전 요인을 바라봐야 된다”며 “그런 거시적인 차원에서의 정상 간에 대화도 이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특히 내년 시 주석의 한국 방한 문제도 이날 논의 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시 주석이 오신 지가 꽤 오래됐기 때문에 한국에 오시는 것이 좋다는 우리 국민의 바람이 있다 이런 입장은 계속 유지돼 왔다”며 “이 얘기도 내일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시 주석의 방한은 2014년 7월 박근혜정부 당시 국빈 방문이 마지막이다.

 

이번 회담을 계기로 한·중 관계에 훈풍이 불게 될지 관심사다. 중국 정부는 최근 한국인에 대한 비자 면제 조치를 전격 시행했다. 이는 1992년 8월 한·중 수교 이후 32년만에 처음이다. 정부는 이같은 조치를 중국의 러브콜로 인식하고 있다.

 

다만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신 행정부가 중국에 강경한 입장을 지닌 인사들을 외교안보 라인에 전진 배치 하는 가운데 중국과 먼저 밀착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질 것인지에 대해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리마=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