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비’, ‘오젬픽’ 등이 인기를 끌며 ‘기적의 비만약’이라는 수식어까지 붙었으나, 5명 중 1명에게는 체중 감량 효과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23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임상시험에서 위고비나 마운자로를 투약한 대다수 비만 환자는 평균 15~22% 체중을 줄였다. 그러나 임상시험 참가자의 10~15%는 체중의 5% 이하만 감소해 ‘비반응자’로 구분됐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모든 환자들에게 GLP-1 수용체 작용체 약물의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수백만 명이 해당 의약품을 투약하는 상황에서 비반응자 비율이 최대 20%에 이를 수 있다고 AP통신에 설명했다. 환자들이 약물에 대해 획일적인 효과를 기대해서는 안 된다는 설명이다.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당뇨병 전문가인 파티마 코디 스탠퍼드는 “문제는 저마다 반응이 각각 다르다는 걸 설명해야 한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최근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eceptor agonist) 계열의 약물들이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 해당 약물들은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키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해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위장관의 운동을 느리게 만들어 포도당 흡수를 늦추고 뇌에 작용해 식욕도 억제한다. 이런 효과 덕분에 당뇨병 치료와 체중 감량에 쓰인다.
함유된 성분은 똑같지만 허가 사항이 당뇨병 치료제와 체중 감량제로 서로 달라 상품명이 따로 붙은 경우도 많다. 상품명으로는 위고비·오젬픽, 마운자로·젭바운드, 삭센다, 트루리시티, 리벨서스, 빅토자 등이 이에 해당한다. 성분명으로는 세마글루타이드, 리라글루타이드, 티르제파타이드, 둘라글루타이드 등이다.
이런 약물들이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지는 대개 몇 주 안에 판명된다. 체중 감량 효과가 있을 경우 대개 조기에 나타나며, 투약 용량을 늘리면서 이런 효과가 지속된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GLP-1 수용체 작용제 중에서도 어떤 약에는 반응하지 않던 환자가 다른 약에는 반응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식단, 운동, 수면, 스트레스 등 생활습관이 체중 감량 성공 여부에 큰 영향을 주기도 한다.
코넬대 와일 의대의 비만치료 전문가 캐서린 손더스는 “비만은 매우 복합적인 질병이며 매우 종합적으로 치료돼야 한다”며 “만약 처방한 약이 효과가 없다면 다른 대안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