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기준 우리 국민은 28세부터 소비보다 노동소득이 많은 ‘흑자 인생’을 살다가 61세부터 적자 구간에 재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에 비해 노동소득보다 소비가 더 많이 늘면서 생애주기적자는 53조원 넘게 늘었다.
통계청은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은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를 연령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연령집단(세대) 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만든 통계다. 2022년 소비는 1364조1000억원, 노동소득은 1168조7000억원으로 각각 집계돼 소비와 노동소득의 차액인 생애주기적자는 195조4000억원으로 나타났다. 2021년과 비교해 소비가 9.9% 늘어난 가운데 노동소득 증가폭은 6.3%에 그치면서 생애주기적자는 53조7000억원 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생애주기적자에선 소비와 노동소득의 관계만 파악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큰 적자가 발생한다. 이런 적자는 노동연령층(15∼64세)에서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이전’(상응하는 대가 없이 거래)되는 부분과 ‘자산 재배분’(자산소득-저축)을 통해 충당된다.
연령계층별로 보면 2022년 노동연령층에서는 143조9000억원의 흑자가 발생했다. 반면 유년층과 노년층에서는 각각 176조8000억원, 162조5000억원 적자가 나타냈다. 노동연령층은 소비는 전년 대비 9.0% 늘어난 가운데 노동소득은 5.7% 증가에 그쳤다. 유년층은 노동소득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에서 소비가 10.5% 늘었다. 유년층의 소비 증가세는 민간교육소비(26.9%), 공공교육소비(7.9%)가 주도했다. 노년층은 소비(13.7%)보다 노동소득의 증가폭(20.7%)이 컸다.
노동연령층 중 나이가 많은 55∼64세를 살펴보면 2012년에는 15조9000억원 적자였지만 2020년 이후 흑자로 전환해 2022년에는 그 규모가 약 10조원에 달했다. 1인당 생애주기를 기준으로 우리 국민은 17세 때 생애주기적자가 4078만원에 달해 최대를 기록했다. 공공교육소비로 1296만4000원, 민간교육소비로 944만6000원을 각각 쓰는 등 1인당 소비액이 4113만원에 육박해서다. 28세를 기점으로 흑자로 전환된 뒤 60세까지 이어졌다. 1인당 노동소득은 43세에 4290만원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다시 적자 구간에 진입하는 시기는 61세였는데, 연령이 증가하면서 적자 규모도 커졌다. 흑자 진입 시기는 2010년 이후 27∼28세로 일정한 편이지만, 적자 재진입 연령은 2010년 56세에서 2022년 61세로 점차 늦춰지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은퇴가 늦어지고 은퇴 후에도 계속 일을 하는 노년층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각 생애주기에서 발생한 적자는 가구 간(내) 이전, 정부의 공공이전 등을 통해 메워진다. 흑자 발생 연령대인 노동연령층에서 세금과 사회부담금, 가족 부양 등으로 적자 연령대인 노년층, 유년층으로 유입되는 구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