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눈동자에 오는 중풍' 고압산소치료로 시력 회복 입증 [건강+]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중심망막동맥폐쇄서 고압산소치료 효능 증명
교정시력 3~4단계 향상...망막 두께 유지돼

‘눈 중풍’이라 불리는 중심망막동맥폐쇄는 망막의 중심 동맥이 막히며 급격한 시력 저하를 초래해 심하면 실명에 이르게 하는 질환이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발병률은 10만명당 8.5명으로 매우 드물지만, 조기증상 없이 급성으로 나타나며 발병 즉시 급격한 시력저하를 초래하는 응급질환이다. 

 

표준치료로는 눈 마사지와 안구내압 강하제 복용 등이 있지만 치료효과가 제한적이다. 

 

치료를 받더라도 환자의 22%만이 시력을 회복하고, 이 중 의미 있는 수준의 시력 회복이 나타나는 경우는 10%가 안 된다.

 

이러한 가운데 중심망막동맥폐쇄에 대한 고압산소치료의 효능을 증명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고압산소치료는 대기압보다 2~3배가량 높은 고압산소를 체내 혈액 속에 녹아들게 해 몸 곳곳으로 고농도 산소를 공급하는 치료법이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안과 홍인환 교수(교신저자)․이정민 교수(1저자), 응급의학과 왕순주 교수 연구팀은 ‘향상된 심도영상 광학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중심망막동맥폐쇄에 대한 고압산소치료의 효능에 대한 종합적 평가’ 연구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2015년 12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에서 중심망막동맥폐쇄로 치료를 받은 50명의 환자를 분석했다. 

 

이들 중 21명은 표준치료인 눈 마사지와 안구내압 강하제 복용을 했고, 나머지 29명은 표준치료와 함께 고압산소치료를 받았다. 표준치료만 받은 환자들은 신부전 및 귀의 이상 등으로 고압산소치료를 받을 수 없었거나 스스로 거부한 경우였다.

 

또 시력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치료 후 6개월간 최대 교정시력과 중심 망막 및 맥락막의 두께를 평가해 분석했다. 

 

망막은 안구의 가장 속층이며 빛수용세포를 포함한 여러 세포가 모여있다. 또한 맥락막은 망막으로 영양을 공급하기 때문에 중심망막동맥폐쇄 후 시력 저하와 관련성이 있다.

 

두께 측정은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 안구 내 단층적인 구조를 검사하는 광학간섭단층촬영으로 이뤄졌다. 중심망막동맥폐쇄 발병 후 고압산소치료를 받기까지 평균 3.6일이 걸렸으며, 2주간 평균 11일의 고압산소치료를 받았다.

 

추적관찰 결과 고압산소치료를 받은 그룹은 매월 일관되고 의미 있는 수치로 시력이 개선됐다. 중심망막동맥폐쇄 발병 후 최초 병원 방문 시 평균 교정시력(logMAR)은 2.03이었지만 고압산소치료 6개월 뒤 교정시력은 1.55로 나타나, 3~4단계의 시력 상승효과를 보였다. 

 

이는 치료 전 눈앞에 있는 손가락을 구별하기 어려운 ‘안전수동’에서 고압산소치료 후 2m 떨어진 거리의 시력표 첫 번째 줄에 있는 글자를 읽을 수 있는, 시력 0.05 수준으로 회복된 것이다. 

 

그러나 표준치료만 받은 그룹의 평균 교정시력(logMAR)은 치료 전 2.1에서 치료 후 2.11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고압산소치료를 받은 모든 환자에게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망막 및 맥락막 두께의 경우 두께 감소가 적을수록 시세포의 손실이 적은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고압산소치료를 받은 그룹이 표준치료만 받은 그룹보다 경과 관찰기간 두께 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압산소치료 그룹은 6개월간 망막과 맥락막의 두께 감소가 9%에 그쳤지만, 표준치료만 받은 그룹은 두께가 23%까지 줄어들었다. 

 

고압산소치료 그룹에서 망막층의 두께 감소가 적었던 것은 광수용체가 보존됐기 때문이며, 맥락막은 혈관이 많이 모여있는 곳으로 허혈이 덜했기 때문에 두께 감소가 적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홍인환 교수는 “고압산소치료는 중심망막동맥폐쇄로 망막으로 가는 동맥이 막혔을 때 높은 대기압에서 100%의 산소를 흡입하게 해 혈관을 확장시키고 재개통할 수 있게 만들어 시력 회복을 돕는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향후 고압산소치료가 중심망막동맥폐쇄의 표준치료로 확립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논문은 SCIE급 국제 학술지인 ‘Scientific Reports(피인용지수(IF): 3.8)’ 10월호에 게재됐다.


이진우 기자 realstone@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