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메뉴 보기 검색

南 정치 혼란에도… 北 ‘무반응’ [비상계엄 후폭풍]

朴 탄핵 땐 2시간20분 만에 보도
“北, 이해 불가… 즉각 보도 어려울 것”

북한 매체는 4일 비상계엄과 관련해 아무 소식을 싣지 않았다.

북한은 외부세계 정치 이슈와 관련해서는 시차를 두고 반응을 보이곤 하나 남한 지도자 탄핵과 같은 대형 이슈는 이례적으로 비교적 빠르게 보도한 편이다. 2004년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기각됐을 때 이틀 만에 반응했고, 2017년 3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헌법재판소가 인용했을 땐 2시간20분 만에 보도가 나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다만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언과 극도의 정치적 혼란상은 언제, 어떻게 보도될지 예측하기 어렵다. 올해부터 북한이 남북관계를 ‘두 국가’로 선언하고 단절책을 쓰고 있어서다. 10월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남한에 대해 “두 개 국가를 선언하면서부터는 더더욱 그 나라를 의식하지도 않는다”고 한 바 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과거 신문 6면을 소위 ‘대남면’으로 활용해 한국의 부정적 소식으로 채웠다. 하지만 최근 1∼2년 새 서서히 보도량을 줄이고 국제 관련 기사로 해당 면을 채웠다. 현재 국내 일간지의 국제면과 비슷해진 노동신문 6면엔 남한 관련 기사는 1건 정도만 비정기적으로 실린다. 대부분 윤석열 정권 퇴진을 요구하는 촛불집회와 시국선언 보도다. 남한 민중은 악한 지도자로 인해서 고통을 받고 북한 사회는 사회주의 유토피아라는 식으로 북한 주민들을 교육하려는 목적이다. 또 체제 우월성을 강조하는 체제경쟁 관성도 있다.

한 북한 전문가는 “당장 어떤 보도를 내놓기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이어 “아마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사회라고 생각할 것”이라며 “IMF 구제금융을 받을 때도 북한 당국은 매체를 통해 주민들에게 ‘거봐라 남쪽 자본주의는 다 망했고 우리가 맞았다’고 교육해놨는데 한국은 발전했고, 1979년 10·26 사태 직후에도 북한 당국은 남쪽이 망한다고 생각하는데 언론보도 통제로 인해 사태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알지 못해 답답하다 보니 우리 동향을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대화 제안을 해온 적도 있다”고 말했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